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사례 연구

이용수 473

영문명
Glocalizing Performing Arts Contents in Korea: Emphasis on the Production of 「Hamlet - The Actor」
발행기관
한국예술경영학회
저자명
박은지(Park, Eun Ji)
간행물 정보
『예술경영연구』제44집, 169~20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계성’과 ‘지역성’을 함께 탐색해 나간다는 의미에서의 ‘글로벌’(global)과 ‘로컬’ (local)의 가치를 필두로 한 새로운 미학적 프레임을 만들어가는 ‘글로컬’(glocal) 시 대를 맞이하며, 전방위 문화예술 분야의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은 차세대 크리에이터 및 글로벌 관객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는 중요한 테제가 아닐 수 없다. 연극 「햄릿-디 액터」(Hamlet-The Actor)는 현대연극에 있어 가장 다채로운 변용에의 대상이자 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희곡 텍스트 중 하나인「햄릿」을 각색해 만든 작품으로, 최근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한국 문화예술 콘텐츠의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에의 논의 가운데 좌표 되어 있는 유의미한 수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작품은 독창성과 예술성, 흥행성을 인정받아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로서 대내외적 위상을 차지, 국내외 학계 및 공연예술 시장에 커다란 반향을 이끌어내었음은 물론 문화예술 콘텐츠와 관련된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 전반에 폭넓은 담론을 형성해가고 있다. 본 논문은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로서 그 영향력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는「햄릿-디 액터」가 지니는 작품의 외적, 내적 측면에서의 구조 및 내용상의 면밀한 작품 분석을 통해 특징적 요소들을 추출함으로써, 각각의 요소들이 글로컬라이제이션 과정에 있어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점에서 상호 연관되어 전략적 시너지를 일으키고 있는지를 논리적으로 규명해나가는 것을 연구의 주된 주제로 삼고 있다. 자료 분석 결과 ‘안정성을 담보한 실험적인 연출에의 변용 가능성’, ‘심미적 관점에서의 디자인 오리지낼리티’, ‘차별화된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프로모션 플랫폼 개발’ 등 글로컬라이제이션 측면에서의 전략적 요소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다시 ‘대 주제 공감’, ‘응축성과 확장성의 적절한 배치’, ‘혁신을 가미한 전통의 재해석’, ‘유용성을 덧입은 독창성’, ‘글로컬 공연 콘텐츠로서의 위상’, ‘글로벌 관객과의 만남’의 중심 키워드로 구체화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공연예술 콘텐츠 제작은 문화예술 콘텐츠 글로컬라이제이션 전략 개발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이 밝혀졌으며, 이는 다시금 ‘글로벌’과 ‘로컬’의 함의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어떠한 구조와 방식으로 문화예술 콘텐츠를 제작하여 전 세계 관객들에게 소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지향점을 고심하도록 하는 건설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해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추후 한국의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산업을 이끌어나갈 성장 동력 및 하나의 방향성을 획득해 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으며, 전방위 문화예술 콘텐츠 분야에서 한국만의 특장점을 살릴 수 있는 안정적인 기획, 제작 생태계 마련을 위한 글로컬라이제이션 미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 지침으로서 기능, 보다 다층적 차원의 문화예술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We are in the era of what’s called ‘Glocalization’ when new aesthetic framework is being produced, based on the ‘Global’ and ‘Local’ value, under the broad cause of exploring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such an era,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at the level of multi-directional cultural arts field, could not but be a very important theme that provides much insight to rising creators and the global audience. The theatric play「Hamlet - The Actor」is the work that adapted and produced「Hamlet」, one of the motifs of modern theatric plays that is used through the most innovative and various change, and one of texts of theatric plays most famous in the world, which is recognized as the major field in modern art. Also, this is evaluated as the significantly excellent work becoming an indicator of the discussion on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as the Korean culture and art contents that has recently been receiving keen attention. As the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the work has been recognized in its originality, artistic value and popularity to secure the solid status at home and abroad, and has lured a great effect on the national and foreign academic circles and performing arts markets, forming a broad discours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in linkage with the ecological feedback of planning, developing and producing culture and art contents. What the research study adopts as the main research theme is to analyze exhaustively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work 「Hamlet - The Actor」in external and internal contexts which is expanding and reproducing its influence as the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to extract particular elements; and investigate logically how and where each element is mutually connected in Gloc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arouse strategical synergy. There have been the analytic results of the data that strategical elements at a Glocalization level - such a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experimental production for stabilization’, ‘design of originality in an aesthetic sense’ and ‘the development of platform, as distinct glocal performance art contents promotion’ were discovered. Such elements were embodied as new key words - such as ‘empathy on the great theme’, ‘the adequate layout of condensation and extension’, ‘the reinterpretation on innovative tradition’, ‘originality of usefulness’, ‘the recognition as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and ‘encounter with the global aud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understood that the greater importance must be placed on the awareness that producing successful culture and art contents must be interpreted as the same context as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Glocalization as the requisite and sufficient condition to do so. This would provide the field of a more constructive discussion to reach a new orientation, a discussion about for example, by what structures and methods culture art contents must be produced to introduce the global audience by shedding a new light on the implication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he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drawing a growth engine and a direction to lead the Korean glocal performing arts contents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this would be the basic foundation to establish more multi-dimensional culture and art policies as the practical guideline on future strategies to make the stable planning and ecological feedback that could reflect the specific features that Korea has in multi-directional cultural art contents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지(Park, Eun Ji). (2017).한국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사례 연구. 예술경영연구, 44 , 169-203

MLA

박은지(Park, Eun Ji). "한국 글로컬 공연예술 콘텐츠 사례 연구." 예술경영연구, 44.(2017): 169-2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