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실과 홈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54

영문명
Effects of the Home Project Method on Cap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Students in Practical Arts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저자명
강순실(Kang Soon Sil)
간행물 정보
『초등교육연구』초등교육연구 제15호, 183~2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가치관과 다양한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는 실과교육의 목표를 구현하는 학습활동에 홈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그 효과를 규명하여 실과교육 적용을 위한 근거 마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제주시 소재의 S초등학교 5학년 6개 학급의 192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하였으며, 실과 컴퓨터관련 단원에서 실험집단에는 홈프로젝트 학습을,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실과학습을 각 8주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실과 홈프로젝트 학습은 일반적인 수업에 비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실과 홈프로젝트 학습은 학력이 상위 그룹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중위 그룹과 하위 그룹에는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 그룹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중·상위 그룹에 적합한 홈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실과 홈프로젝트 학습은 과제수행 능력이 상위 그룹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중위 그룹과 하위 그룹에는 효과가 있었다. 특히 중위 그룹에서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과제수행 능력이 하위 그룹인 학생들에 비해 중·상위 그룹의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하위 영역인 자기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홈프로젝트 학습 적용 시 다양한 수준의 과제를 안내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력이나 과제수행 정도가 상위 그룹이라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다고 말할 수 없으며, 성별에 따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the home project method on capabilities of self-directed learning of elementary students. 192 students of 6 classes of 5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of Jeju province were sampl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organized from this samples, and a pre-test was conducted in each group. Home project learning method was tre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general learning method was treated in the control group during 8 weeks, and then a post-test was conducted in each group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mean score of the group treat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treated with general learning method in variables of Open Mind , Self Concept , Intrinsic Motivation , Autonomy , Future Directivity , Creativity , Problem Solving , Self Evaluation . Second, home project learning method was not effective in the high level group of attainment but was effective in the other level groups. Third, home project learning method was not effective in the high level of capability achieving tasks but was effective in the other level groups. Fourth, there was only different in valuables of Open Mind , Self Concept , Intrinsic Motivation by levels of attainm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except Open Mind valuable i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dditio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But there was only different in Self Evaluation valu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between male and femal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순실(Kang Soon Sil). (2011).실과 홈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15 , 183-212

MLA

강순실(Kang Soon Sil). "실과 홈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15.(2011): 183-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