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에서의 학습성격유형과 학교생활그림(KSD) 반응특성과의 관계

이용수 159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and Reactive Characteristic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저자명
강건택(Gang Geon Taeg)
간행물 정보
『초등교육연구』초등교육연구 제15호, 159~18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의 학습성격유형과 학교생활그림의 반응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 성격을 예측할 수 있는 기초 도구로서 학교생활그림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살펴보면 학습성격유형의 규범형, 행동형, 탐구형 성격유형은 각각 학교생활그림의 규범형, 행동형, 탐구형 표현양식과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격유형의 이상형 성격유형과 학교생활그림의 이상형 표현양식과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학습성격유형과 학교생활그림의 표현양식과의 상관관계는 학교생활그림을 통해 학습성격유형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style and the reactive characteristics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in elementary school, and to examine availability in KSD as a tool that can predict character. The conclusion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ormative mode in a learning style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normative expression mode in KS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ynamic mode in a learning style and the dynamic expression mode in KSD was indicat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estigative mode in a learning style and the investigative expression mode in KSD.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l mode in a learning style and KSD was indicated to have partial correlation. Given examining by each element, except the number of human figures,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as indicated in expression of Korean Girl s Cartoon, in distance from close human figure, in decorative expression, and in smiling face expression. Accordingly, the correlation between a learning style and the expression mode in KSD, which was shown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possibly utilized as the useful basic data that can predict a learning style through KSD. Given using KSD together with other personality inventory in questionnaire, it will be able to be measured more effective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건택(Gang Geon Taeg). (2011).초등학교에서의 학습성격유형과 학교생활그림(KSD) 반응특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5 , 159-182

MLA

강건택(Gang Geon Taeg). "초등학교에서의 학습성격유형과 학교생활그림(KSD) 반응특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5.(2011): 159-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