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이용수 586

영문명
‘Road’ Motif and Chronotope of .Korean Modern Novel
발행기관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저자명
홍순애(Hong, SunAe)
간행물 정보
『人文學硏究』第24輯, 57~7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길’의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를 중심으로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을 분석하였다. 문학적인 모티프들이 인간 존재의 기본적 삶의 유형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에서 ‘길’의 모티프 는 인간과 공간을 결합시키는 관계인 동시에 장소적 표상체계로 기능한다. 또한 문학 속에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의 본질적 연관성이라 정의되는 크로노토프는 텍스트간의 장르적 변별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승옥의 「서 울 1964년 겨울」은 유랑하는 소시민의 장소 상실과 광장공포증agoraphobia으로 재현된다. 장소 없음에 대한 강박은 소설의 서두에서부터 자본의 역학, 즉 ‘돈’에의해 연결될 수밖에 없는 필연성으로 제시된다. 이에 인물들 간의 관계는 ‘돈’을 소비는 동시에 ‘시간’을 소비하는 소모적 관계로만 머물게 된다. 소설은 길의 모티프와 크로노토프를 통해 소통이 전제되어 있지 않은 비인간적 도시를 은유하는 동시에, 죽음이 방치 될 수밖에 없는 비정한 현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은 귀향, 고향의 유토피아적 공간 지향과 장소애topophilia를 재현한다. 이 소설에서 귀향의 여정은 ‘길’을 통해 제시되고, 고향은 소설에서 인물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하는 장소로 설정된다. 또한 소설에 서 인물들은 동일한 경험과 감정의 전이로 인한 동화의 관계를 형성한다. 인간의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항상 크로노토프와 관계하며, 문학 속에 재현된 크로노토프는 이 두 소설에서 ‘길’의 모티프를 통해 도시와 농촌, 인관관계의 이질성과 동질 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novel Seoul 1964 winter by Kim Seungok and The Road to Sampo by Hwang Sok yong, focusing on the ‘Road’ motif and Chronotope. The motif of ‘Road’ in novels functions both as a system of relationship that combines humans and space and a system of spatial representation, in that literary motifs prove the basic types of life of human existence. Chronotope, which is defined as an essential relation of time and space expressed in literature with an artistic manner, is important in that it presents the differences of the world view of texts and distinctive points of genres. Kim Seungok s Seoul 1964 winter is reproduced with agoraphobia of wandering petit bourgeois. The obsession with placelessness is presen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ovel as the inevitability that must be connected by the dynamics of capital, money.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remains only as a consuming relationship that consumes ‘money’ and consumes ‘time’. The novel is 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depicts the unreasonable reality in which death is neglected, at the same time as there is a metaphor of dehumanization that is not presumed to be communicated which is shown through the motif of the road and the Chronotope. Hwang Sok yong s The Road to Sampo reproduces the utopian spatial orientation and topophilia of homecoming and hometown. In this novel, the journey of homecoming is presented through the ‘Road’ and the hometown is set as the place where the characters ultimately want to reach. The characters form a relationship of assimilation resulting from the transfer of the same experiences and emotions. The human image is essentially always related to and the Chronotope reproduced in literature shows the human life based on the homogeneity principle of heterogeneity of city and rural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motif of ‘road’ in the case of these two novels.

목차

1. 서 론
II. 유랑하는 소시민의 장소상실과 광장공포증agoraphobia
III. 유토피아적 공간 지향과 장소애topophilia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순애(Hong, SunAe). (2017).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人文學硏究, 24 , 57-79

MLA

홍순애(Hong, SunAe). "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人文學硏究, 24.(2017): 57-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