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칭《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 구성과 편찬을 위한 시론

이용수 100

영문명
A Pilot Study on the Format and Compilation of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전종한(Jeon, Jong Han)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38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칭 《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와 편찬 방안에 대해 고찰한 것이 다. 먼저 연구자는 최근 우리나라의 국가역사지도집 논의가 방법 측면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면서 국가지도집 편찬과 병행하여 지역역사지도집의 편찬 작업을 도모함으로써 방법 측면에 우선하여 내용 측면, 그 중에서도 콘텐츠 구축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연구자는 해외의 주요 지역역사 지도집의 체재를 분석하여 행정구역, 자연환경, 인문환경이 공통된 3대 내용 범주라는 점을 밝히고, 이들 3대 내용 범주를 《경기역사지도집》의 기본 체재로 삼자고 제안하였다. 다만 이 때 행궁 행차 노선, 능묘, 도읍지의 방어를 위한 군사시설 등 지역 고유의 역사·문화적 배경을 부각시키는 역사지도들을 발굴하여 편제에 반영함으로써 3대 내용 범주 중심의 기본 체재를 지역 정체 성에 맞게 적절히 변형하고 재구성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끝으로 지역역사지도집이 지역민의 장소감 증진과 정신세계의 풍요로움에 기여하는 지역인문학으로 전화되어야 한다는 점과, 경기역사지도집의 성공적 편찬을 위한 두 가지 관건으로서 역사지명사전의 편찬과 더불어 역사지리정보의 고증 작업에서 야외답사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 and compilation of the so-called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To do this,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discussion on the recent historical atlas of Korea attaches too much of the methodological aspect, and argues that there is a need to discuss the content aspect, i.e. content construction, prior to the methodological aspect in compiling the regional historical atlas. And then, the researcher analyzes the format and compilation of some regional historical atlases abroad and reveals th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are the three main-content categories. The researcher considers these three main-content categories as the basic format of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but suggests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modification and reconstruction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Gyeong-Gi region and of unique themes of historical maps showing the regional identity of Gyeong-Gi, such as the distribution of military facilities for the defense of national capital, royal tombs, the king’s routes to local palaces, and so on. Finally, the author proposes that regional historical atlas belongs to a certain kind of the regional humanities tha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people s sense of place and the richness of the spiritual world, and the two key points for the successful compilation of 《Historical Atlas of Gyeong-Gi》 are ‘gazetteer of historical place names’ and ‘field trips’ for historical-geographical investigation.

목차

1. 머리말
2. 역사지도집의 국내외 편찬 사례 및 주요 개념
3. 지역역사지도집의 편찬 목적과 체재:《경기역사지도집》의 편찬 방안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종한(Jeon, Jong Han). (2017).가칭《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 구성과 편찬을 위한 시론. 기전문화연구, 38 (2), 1-18

MLA

전종한(Jeon, Jong Han). "가칭《경기역사지도집》의 체재 구성과 편찬을 위한 시론." 기전문화연구, 38.2(2017):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