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형사규범학적 재정의

이용수 334

영문명
The Re-definition Based on Criminal Normative Approach to White-collar Crime - Focusing on a Concept of ‘Rechtsgut’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이장욱(Lee Jang Wook)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26권 3호, 224~248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화이트칼라 범죄는 나날이 지능화되고 다양해지는 등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고, 다양한 범죄 유형들 사이에 어떠한 공통분모적인 요소가 분명히 존재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utherland에 의해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 지금까지도 화이트칼라 범죄를 행위주체를 중심으로 정의할 것인지, 행위를 중심으로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이러한 개념 논쟁이 지속됨에 따라 학계 일각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추상적인 정의 논쟁 대신 구체적인 유형분류를 시도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화이트칼라 범죄의 개념을 좀더 명확하게 재정의하고, 새로운 유형 분류를 위해 형사규범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행위 부분은 ‘법익(法益, Rechtsgut)’개념을, 주체 부분은 ‘화이트칼라 근로자(white-collar worker)’의 개념을 각각 활용한 결과, ‘공공부문 또는 민간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 개인이나 조직(사업자 포함)이 유·무형의 개인적 또는 조직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비폭력적인 기망·배신·권한 남용 등의 방법으로 행하는 개인적·국가적·사회적 법익 침해 행위’를 화이트칼라 범죄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정의를 기초로 하여 (i) 공공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 (ii) 민간부문 화이트칼라 근로자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 (iii) 조직(사업자 포함)에 의한 개인적, 국가적, 사회적 법익 침해로 화이트칼라 범죄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a discussion about a white-collar crime was begun by Sutherland, the unproductive dispute has been lasted for a long time in the academic circle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its concept. However, there have been different opinions even so far about whether the white-collar crime will be defined focusing on the offender or the offence. According to the continuation of this conceptual argument, cases that attempt the specific type classification are also being grown instead of the abstract definition controversy over a white-collar crime. The white-collar crime of the day is being added its seriousness such as getting intelligent and diversified day by day. There is likely no special doubt that some elements of being applied in common exist clearly between various types of white-collar crimes in this way. If so, there is a need to newly define a concept of a white-collar crime based on this through seeking common elements of white-collar crimes, and to establish a criminal type on the basis of this. Hence, this study re-defined a concept of a white-collar crime from the perspective of criminal normative science, and attempted new type classification. Especially, the application was made a concept of ‘Rechtsgut(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o a part of the offence, and a concept of ‘white-collar worker’ to of the offender. As a result, the white-collar crime was defined as infringement of individual· national·social ‘Rechtsgut’ that white-collar workers in the public or private sector or organizations conducts with a method such as abuse of power, deceit, breach of trust in order to pursue tangible·intangible personal or organizational benefit. Also, types of white-collar crime are classified into (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 white-collar worker in the public sector, (i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 white-collar worker in the private sector, (iii) infringement of individual Rechtsgut·national Rechtsgut·social Rechtsgut committed by an organiza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화이트칼라 범죄의 개념 논쟁
Ⅲ. 화이트칼라 범죄의 유형론
Ⅳ. 화이트칼라 범죄의 재정의 및 유형분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장욱(Lee Jang Wook). (2017).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형사규범학적 재정의.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6 (3), 224-248

MLA

이장욱(Lee Jang Wook). "화이트칼라 범죄에 대한 형사규범학적 재정의."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6.3(2017): 224-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