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591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neighborhoods and social capital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저자명
최미영(Mi Young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18권, 25~4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7.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동네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계층을 구분 지을 수 있는 동네의 경계를 마련하고, 전체 가구 수에 대한‘빈곤가구비율’(국민기초생활수급자 가구 비율)을 산정하는 절차를 거쳐, 빈곤계층과 중산층 이상의 계층 간 확연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는 동네 12곳을 선정하였다. 만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353부의 설문응답결과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노인 우울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회자본을 구성하는 차원들을 동네애착, 이웃과의 유대, 이웃신뢰, 주민조직 참여로 나누어,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동네수준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동네수준 사회경제적 지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과 관련해서는 유일하게 동네 주민조직의 참여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태도 및 행동 중에서 지역사회 주민조직에 대한 참여가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실증분석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 수행되지 않은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이라는 변수를 통해서 분석을 했다는 데 큰 의의를 두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inquire into neighborhood effect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inquiring into literature and the actual proof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Samples were extracted and questionnaire were carried out with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years old to measure neighborhood effec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mong selected 12 places that were estima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es between the poor and over the middle class. The period of questionnaire distribution was from May 21th to May 31th and total 36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100% due to face to face survey but 353 copies were used as final data by removing unfaithful 7 copies. As a result by analyzing rank linear model to grasp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ach neighborhood on elderly people depression, it appeared that neighborhood level dispersion was meaningful. However, socioeconomic status of neighborhood level was shown not to have an meaningful effect statistically. In reference to social capital, it showed that on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of neighborhood affected on depression. The direction of a regression coefficient of participation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ells that the more participating in residential organization, the lower depression they have.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조사분석
Ⅳ. 논의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영(Mi Young Choi). (2008).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8 , 25-46

MLA

최미영(Mi Young Choi). "노인우울에 미치는 동네효과와 사회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8.(2008): 25-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