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설신어󰡕 독자 형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 명대 중엽 홍치년간(弘治年間) 강남 오중문인(吳中文人)의 인물지 -

이용수 52

영문명
The formation of Ming China readers of Shih-shuo hsin-yü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 biographies of the Wu Zhong literati under the HongZhi reign in the mid-Ming period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김정숙(Kim, Jeong-suk)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1집, 131~16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 방면의 󰡔세설신어󰡕 독자층에 대한 연구 성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여된 중국 방면의 독자층 형성에 대한 이해를 보완하려는 의도에서 이루어졌다. 15세기 말~16세기 초 명대 효종 홍치년간(1488-1505)에 오중문인(현 강소성 소주 일대)에 의해 제작된 인물지를 통해, 명대 󰡔세설신어󰡕 독자 형성의 사회문화적 맥락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필자는 16세기 󰡔세설신어󰡕 수용 계보가 오중 문인에 집중된 점에 주의하였다. 그간 중문학계 에서 명대 중엽 독자들의 다양한 수용을 개별적 이고 고립적으로 처리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글은 관련 논의 범위를 전체 ‘오중문화권’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선행연구와 차별을 두고, 독자 형성의 원류를 고찰하기 위해 15세기 말로 거슬러 올라간 것이다. 이 글에서 말하는 ‘오중문인’이란, 축윤명(祝 允明), 문징명(文徵明), 당인(唐寅), 서정경(徐 禎卿), 도목(都穆), 양순길(楊循吉) 등이 중심이 되어 함께 고문사(古文詞)를 제창했던 맹우 들을 가리킨다. 오중 인물지는 바로 맹우들에 대한 인물품평과 상찬(賞讚)을 기록한 것이다. 그들의 상호 ‘표방(標榜)’과 ‘상찬’에서 드러난 인물관은 위진명사 및 󰡔세설신어󰡕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하고 복잡한 접속과 변주를 보여주었다. 이 글은 바로 고금(古今)의 접속 지점이 장기간 온축을 거쳐 명대 중엽에 󰡔세설신어󰡕가 재등장 하고 독자층을 형성하게 된 핵심 관건이라는 것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필자는 오중인물지와 󰡔세설신어󰡕 혹은 오중 문인과 위진명사를 비교, 대조하는 방법을 사용 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첫째, 오중인물지와 󰡔세 설신어󰡕의 인물에 대한 글쓰기가 모두 심미적이 나, 오중문인의 경우 한말(漢末) 청류(淸流)와는 달리 고문사(古文詞)와 시문(時文)과의 대립이라는 사회적 관계가 그들의 인물관을 청아 박고(淸雅博古)에 대한 숭상으로 틀지웠다. 둘째, 은일이나 탈속적인 삶에 대한 동경은 고금 상호간에 접속점을 가졌으나, 위진명사는 현원(玄遠)한 정신적 경지를, 오중문인은 박아 군자(博雅君子)에 대한 숭상으로 변주되어 나 타났다. 셋째, 오중문인의 ‘광사(狂士)’에 대한 긍정은 󰡔세설신어󰡕의 「임탄(任誕)」편과 접점을 이루었 다. 특히 󰡔오군이과지(吳郡二科志)󰡕에서 「광간 (狂簡)」 편목의 설정은, 중용의 덕과 명교(名敎) 를 중시하는 명대 사회에서 매우 파격적인 것이 었다. 그것은 명성을 생산하고 공인하는 메커니 즘의 주도권이 중앙에서 지방의 지역문단으로 이전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 글은 국내에서 진행된 기존 조선 방면의 연구성과와 더불어 16~17세기 한·중·일 동아시 아의 󰡔세설신어󰡕 주요 독자층에 대한 심층 비교 분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written with a view to complement the relatively limited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Ming China readers of Shih-shuo in comparison with that of Joseon Korea. This study was concentrically examined the formation of readers of Shih-shuo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by considering the personal style of the commentaries (人物志) written by the Wu-Zhong literati (吳中文人) in the late-15th to early-16th centuries (孝宗弘治年間, 1488-1505). The biographies of Wu-Zhong region just was written the character sketched by each other of them as firm friends. Their comments on character traits (人物品 評), from boasting (標榜) to praise (賞讚), reflected the various and complicated forms of access and variation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the Wei-Chin elite (魏晉名士) and the Wu-Zhong literati, and between the biographies of the Wu-Zhong and Shih-shuo. The point of this paper was to assert that the access point in the past time and in the present, through its accumulati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led to the revival of Shih-shuo in mid-Ming China, and this reappearance of Shih-shuo among the Wu-Zhong literati was the real nitty-gritty of the formation of readers.

목차

1. 들어가며
2. 홍치년간 오중문인의 상호표방과 심미적 인물관의 형성
1) 사찬인물지의 주인공과 저자들
2) 고문사 맹우의 상찬과 󰡔세설신어󰡕
의 접점
3. 오중문인의 인물지와 󰡔세설신어󰡕의
접속과 변주 1) 박학상고(博學尚古)
2) 은일에 대한 동경
3) 인물분류와 품평 기제의 민간화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숙(Kim, Jeong-suk). (2015).󰡔세설신어󰡕 독자 형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 명대 중엽 홍치년간(弘治年間) 강남 오중문인(吳中文人)의 인물지 -. 동방학지, 171 , 131-164

MLA

김정숙(Kim, Jeong-suk). "󰡔세설신어󰡕 독자 형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 명대 중엽 홍치년간(弘治年間) 강남 오중문인(吳中文人)의 인물지 -." 동방학지, 171.(2015): 131-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