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필사본 동사강목의 자료 가치와 성격 - 연세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이용수 45

영문명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cription Book Donsagangmok (東史綱目)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박종기(Park, Jong-ki)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71집, 165~1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760년 안정복(安鼎福, 1712~1791년)이 편찬한 동사강목은 완성되지 않은 초고 상태에 불과했다. 이 필사본 동사강목(초고본)은 현재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안정복은 1772년에서 1774년까지 세자시절의 정조 임금을 교육하는 직책에 임명된다. 이때 정조는 안정 복에게 동사강목 열람을 요청한다. 이를 계기로 안정복은 초고본 동사강목을 본격적으로 수정 하게 된다. 1차 수정은 1778년부터 시작해 1781 년까지 이루어져, 정조에게 바친다. 그러나 불완 전한 내용에다 많은 오자로 인해 1783년에서 1785년까지 2차 수정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완성된다. 연세대에 소장된 필사본 동사강목(초고본) 에는 안정복이 1778년부터 1785년까지 수정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수정을 위해 새로 찾아낸 사실과 초고본 내용을 수정 혹은 삭제한 사실들이 가필의 형식으로 초고본의 여백에 정리되어 있다. 모두 3,300곳이다. 연세대 도서관에는 또다른 필사본 동사강목(수정본)이 소장되어 있다. 안정복이 수정한 내용을 본문에 반영시켜 정서(淨書)한 필사본이다. 동사강목은 정조 때 완성되나, 조선왕조 때발간되지 않는다. 동사강목은 특히 대한제국 무렵 우리 역사에 관심을 가진 지식층에 의해 널리 필사되어 유통되었다. 1915년 동사강목은 처음 간행되어 세상에 알려졌다. 이 책은 1780년대 2차 수정 때 완성된 책이다. 이때 발간된 책은 다시 1970년대 발간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초고본과 수정본 사이에 나타난 서술의 차이는 안정복의 변화된 역사인식을 보여준다. 그 구체적인 모습의 하나는 고려 말 우왕과 창왕에 대한 평가이다. 안정복은 초고본과 달리 수정본에서 두국왕은 신돈의 자식이라는 고려사의 서술을 부 정했다. 동사강목은 이를 부정한 조선시대 최초의 역사서이다. 차후 정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An Jeong Bok (安鼎福; 1712-1791) wrote Donsagangmok (東史綱目) in 1760. However, at that time the text was still an incomplete draft ver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 transcription copy of Donsagangmok called “the first draft” (草稿本) was housed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In the first draft copy kept in the Yonsei University Library, traces of the modifications made by An Jeong Bok from 1778 to 1785 can be found. The book contains newly-discovered facts and records of deletions or modifications. Another transcription copy of Donsagangmok called “the second draft book” (修正本) is also housed in the library. It reflects the parts that were modified and organized by An Jeong Bok. An Jeong Bok started his first revisions from 1776 to 1778. He offered the book to King Jeongjo (正祖; 1776-1800). However, due to the incomplete contents and excessive number of misspellings, An Jeong Bok began working on a second revised version, which was completed in 1785. This became the final Dongsagangmok text. Nevertheless, the book was not published under the Chosun Dynasty. Although it was widely transcripted and disseminated by the intellectual class, especially under the Daehan Empire, it was only published in 1915. This first published version was the same as the second revised version of the 1780s. An Jeong Bok’s different ways of narrating history in the first and second drafts illustrated a change in his historical awareness, as is clearly reflected in his assessment of Kings U and Chang of Goryeo. An Jeong Bok denied the narration of the Goryeosa (高麗史), which claimed that the two kings should be deposed for being the sons of Shin don. More detailed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is change in historical awareness and narration as revealed through the revision process.

목차

머리말
1. 초고본 동사강목의 편찬과 정리
2. 초고본 동사강목의 수정 작업
3. 필사본 동사강목의 종류와 가치
4. 초고본과 수정 내용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기(Park, Jong-ki). (2015).필사본 동사강목의 자료 가치와 성격 - 연세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71 , 165-188

MLA

박종기(Park, Jong-ki). "필사본 동사강목의 자료 가치와 성격 - 연세대 소장본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171.(2015): 165-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