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구려 祭天大會의 성립 시기와 그 추이

이용수 85

영문명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the Grand Harvest Ritual in Goguryeo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강진원(Kang, Jin-won)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5집,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國都 동쪽에서 이루어지는 제천의례는 國中 大會로 이루어졌는데, 그 이름을 東盟이라 한 것에서도 나타나듯 군주와 지배집단 간의 회합적인 성격이 내재해 있었다. 이때 이루어졌다는 公 會는 별도의 모임이 아니라 국중대회 그 자체를 가리킨다. 제의 과정을 보면 隧神 혹은 穟神으로 지칭되는 始祖母가 日光感應으로 주몽을 낳았 다는 전승을 재연한 것이다. 고대 한국에서는 시조에 대한 제사가 곧 제천이었다는 점을 알 수있다. 이러한 祭天大會 동맹은 일정 정도의 왕권이 확립하였으나 아직 여타 지배집단의 힘도 온존하고 있던 시기에 거국적으로 시작되었다. 특정 시점을 잡아보자면 始祖廟 親祀가 이루어지는 등 주몽에 대한 의식이 강화되고 國相制가 실시된 신대왕대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의 제천대회는 집권력에 한계가 있던 상황에서 의례를 통해 왕권의 정당성을 보장받고 통합을 도모하는 데에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4세기 이후 제천대회의 양상에는 변화가 나타난다. 東盟이란 명칭이 사라진 것이다. 이는 집권력이 강화됨에 따라 종래처럼 대규모 회합을 통하여 정당성을 인정받거나 충성을 요구할 필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단 지배층 일반이 참여하는 국가제사로서의 성격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7세기 이후에는 제천의례를 할 때에 靈星 神․日神․箕子神․可汗神 등을 함께 제사지내 기에 이른다. 이는 수당 통일제국과의 긴장관계등 어려운 국면에 처해 있던 고구려 측에서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마련한 방편이었다. 농경의 풍요를 빌고 다양한 집단을 포섭하면서 위기에 대처하려던 것이다. 비록 실권은 강고하지 않았 으나 종교적 권위를 유지하였기에 그것을 통해 여러 신에 대한 제사를 주몽 아래 둠으로써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하려던 고구려왕과, 군주의 권위에서 나오는 구심력을 통하여 어려움을 무마시키고자 한 귀족세력의 이해가 합치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제천의례 자체가 왕과 혈연적으로 연결되는 시조를 섬기는 국가제사였으므로, 제천대회는 왕권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며 그 모습을 변모 해갔다 하겠다.

영문 초록

In Goguryeo, ancestral legends were represented through the Grand Harvest Ritual(祭天大會), which was held east of the capital. The ritual reinforced Jumong s(朱蒙, B.C. 58?~19?/B.C. 37?~19?) status as a national figure and royal authority and it was held as a national ceremony during the reign of King Sindae (新大王, A.D. 89?~179/A.D. 165~179). When the power of the Goguryeo state was weak, it helped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and foster a sense of unity among subjects. As the power of the state increased,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Grand Harvest Ritual weakened, leading to the disappearance of the term Dongmaeng(東盟). In the seventh century, when Goguryeo suffered severe hardships, the people of Goguryeo attempted to boost morale by performing ancestral rituals for a number of divinities. The transition in the rituals was brought about by the coincidental interest of the king, who sought to reinforce his authority by subordinating various divinities to Jumong, and that of the aristocrats, who wanted to overcome the national hardships by uniting their subjects under royal authority.

목차

1. 머리말
2. 祭天大會 東盟의 성립과 그 배경
3. 집권력 강화와 祭天大會의 변화
4. 귀족연립정권기 祭天大會의 양상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진원(Kang, Jin-won). (2014).고구려 祭天大會의 성립 시기와 그 추이. 동방학지, 165 , 1-32

MLA

강진원(Kang, Jin-won). "고구려 祭天大會의 성립 시기와 그 추이." 동방학지, 165.(2014):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