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 항목의 구성과 특징

이용수 120

영문명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ation of Local Product in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新增東國輿地勝覽≸) - A Comparison with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Sejong sillok jiriji, ≷世宗實錄≸ 地理志)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저자명
소순규(So, Soon-kyu)
간행물 정보
『동방학지』동방학지 제165집, 33~6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조선에서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 은 15세기 편찬된 ≷세종실록≸ 지리지와 더불어 조선 전기를 대표하는 전국지리지이다. 두 자료는 약 100년의 시간차이를 두고 편찬되었는데, 편찬의 목적과 항목의 구성방식이 매우 상이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차이점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부분이 본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물산 항목이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서는 도 단위와 군현단위로 각각 4~5개의 물산 항목을 설정하고 있었으며, 이들 물산 항목은 대부분 국가의 수취제도를 반영하여 지역의 수취 물종들을 기록한 것이었다. 반면 ≷신증동국여지승람≸ 에서는 지역의 물산을 ‘토산’ 이란 단일항목으로 정리하였는데, 서문과 범례 등에서 토산이 구체 적으로 어떠한 물종들을 기록한 것인지 밝히지 않고 있다. 본고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항목이 어떠한 물종들을 기록한 것이며 또 얼마나 정확 하게 당시의 사정을 전하는 자료인가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방법으로 ≷세종실록≸ 지리지의 물산 항목들과의 비교 검토 방법을 사용하였고, 아울러 ≷동국여지지≸, ≷여지도서≸와 같이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후에 편찬된 전국 지리지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병행하였다. 16~17세기 편찬된 사찬 읍지들도 비교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검토 결과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 항목 에는 각 지역의 생산물들 중에서 곡식류와 같이 비교적 많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물종들을 제외 하고 지역의 특징적인 물종들만을 기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의 공물과는 상관없이 실제 지역의 산물을 기록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였으며, 가급적 생산되는 물산들을 가공 형태가 아닌 원료 상태로 기재하는 것도 확인할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토산 항목 물산들은 편찬 시점이 100~200년 차이 나는 지리지들과의 비교 검토해 본 결과 상당한 중복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를 통해 ≷신증동국여지승람≸ 의 토산 항목이 16세기 지역산물을 상당히 정확 하게 기재하고 있었다는 점도 추론 가능하였다. 그리고 앞선 시기 ≷세종실록≸ 지리지에서 수취 제도를 그대로 반영한 것과 달리 ≷신증동국여지 승람≸이 지역 산물을 기재하는 것으로 변화한 원인은 지리지의 편찬 목적의 상이하다는 점과 16세기 공물 수취의 관행이 변화하였단 점을 꼽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published in the sixteenth century, is considered one of the two most important geographical tex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longside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Sejong sillok jiriji), written a century earlier. Although they share the same subject, the two texts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purpose and organization. The primary difference is in the way they document local products. For instance,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covers four or five local product categories for each do (道) and for the smaller administrative districts known as gun (郡) and hyeon (縣). The section on local products was essentially a categorized record of items collected from each region as a form of tax. However, the comparable section in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discusses items under the comprehensive category of tosan (土産) or ‘local goods.’ In addition, the preface and usage guide that precede the main text do not mention which specific local goods are included. This paper examines the items listed in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and seeks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documentation. To this end, information about the local products in this text were compared to those in the Geographical Appendix to the Annals of King Sejong as well as later geographical literature covering the whole of Korea, such as the Geography of Korea (Dongguk yeojiji) and Cultural Geography of Korea (Yeoji doseo). Other local publications (eupji, 邑誌) from the sixteenth to seventeenth centuries with a limited geographical scope were also compared to gain a wider perspective. It was found that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focused only on products associated with specific regions, while excluding commodities that were more widely grown, such as grains. In addition, it recorded only goods that were actually produced in each region rather than all of the goods a local community was required to deliver as tribute to the royal court and the central government. Notably,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nly documents raw commodities and not their derivatives in the form of intermediate or finished goods. The items mentioned in this text overlap significantly with those in other geographical texts published one or two centuries later. This indicates that the Revised and Aug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was precise in its account of what was being produced in the various region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sixteenth century. This differs from the Annals of King Sejong, in which good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system of tribute tax; this document was written for a distinct purpose, and the practice of tribute collection had evolved over time.

목차

1. 머리말
2. 항목 구성의 원칙과 기재 양상
3. 실제 물산 반영 여부 검토
4. 토산 항목과 16세기 공물수취와의 상관관계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순규(So, Soon-kyu). (2014).≷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 항목의 구성과 특징. 동방학지, 165 , 33-64

MLA

소순규(So, Soon-kyu). "≷신증동국여지승람≸ 토산 항목의 구성과 특징." 동방학지, 165.(2014): 3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