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니까야 Majjha 의 이해와 초기불교 수행체계에서의 Majjha 의 구현

이용수 179

영문명
Understanding of Majjha and Realization of the Majjha in the Training Methods of Early Buddhism -focusing on the insight of majjhima patipada and vinnana realized by anapanasati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김근중(Kim, KeunCh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2호, 199~22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육근과 육경의 조건으로 생겨난 욕탐에게로 결박된 가운데로부터 생긴 알음알이에 대한 안목 (眼) 으로부터 쾌락과 고통의 두 극단을 다가가지 않는 중도 (majjhima patipada) 에 대한 이해를 갖추시고서 세존께서는 오온과 법 [法] 에 대한 지혜와 적정을 이루시었고 , 최상의 지혜와 바른 깨달음과 열반을 성취하셨다고 본다 . 선행 연구에서는 majjhena 가 Kaccanagottasutta[ 가전연경 ] 에서의 중 (中) 의 의미를 갖는다는 이유 때문에 majjhena 를 중도처럼 의미하며 사용되고 있다 . majjha 에 대한 이해로부터의 앎은 majjhima 가 ‘ 두 변 가운데에서 ’ 의 뜻인 반면에 majjhena 는 majjha 의 도구격이므로 ‘ 가운데에 의해서 ‘ 의 뜻이다. 두 변의 결박된 가운데에서 태어나는 알음알이와 오온과 법에 대한 지혜를 majjhima 에 대한 안목으로부터 갖추게 되었다 . majjhena 에 대한 안목으로부터 , 12 가지 종류의 개별적인 연기법에서의 각지 (覺支) 를 ‘ 중에 의해서 ’ 의 도구격으로부터 이루었다. majjha 의 이해를 Anapanassati 에서 구현하였다. 숨 쉬는 몸 [身] 과 숨의 닿음 촉 (觸) 의 두 변의 결박된 가운데 majjha 로부터의 알음알이를 사대물질 요소로서 알아차림 [正念] 하며 고요함의 삼매 [正定] 을 이루었다. 이상의 majjha 의 구현으로부터의 고찰은 다음과 같다. 1. 육근과 육경의 조건으로 생겨난 욕탐에게로 결박된 majjha 로부터 알음알이로서 드러난 사대물질 요소들의 분명한 알아차림 [正念] 을 구현하였다. 2. majjhā 의 닦음으로부터 바른 삼매에서의 감각적 욕망과 해로운 법들의 떨쳐버림 , 거친 사유 및 미세한 사유 , 떨쳐버림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 등의 선지 (禪支) 에서의 적정 [正定] 을 구현하였다 . 3. Dhammadayadasutta 에서의 탐냄과 성냄 등 다양한 종류의 극단을 여의는 목적으로써의 중도를 majjha 의 이해로부터 기술하였다. 4. majjhena 의 도구격의 안목으로부터 , 12 연기법은 12 가지 종류의 결박으로부터 개별 적으로 연기하게 되는 법이고 이들 각지 (覺支) 들의 나열이다. 5. Anapanassati 에서의 majjha 로부터의 알음알이로서 사대물질 요소의 딱딱함을 느끼고 지각하거나 의도하는 등 감각적 접촉의 작의로부터의 고통스런 법을 꿰뚫어 관찰하면서 고성제의 오음성고 [五陰聖苦] 를 고찰한다.

영문 초록

We have concerned about the understanding of nikāya ‘majjha’ and the realization of the majjha in the training methods of early Buddhism to accomplish the majjhimā paṭipadā.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the understanding of majjha has been accomplished by focusing on operation of the mind that is bended while performing a saṃyojana occurred between two sides. We introduce the discerning eye of the majjhā as a knowledge derived from the existence of viññāṇa represented as a dhātu. Dhātu is a basic material element of which the usual set comprises the four paṭhavī, āpo, tejo, and vāyo (earth, water, fire, and wind). The majjhā is derived by the saṃyojana appeared between six sense gates and forms while binding each other. The knowledge accomplished by the majjhimā discernment is that the operation of the mind is obtained from khandhas represented as nāma-rūpa, that is rūpa (physical phenomenon), vedanā (feeling), saññā (perception), saṅkhāra (mental fashioning), and viññāṇa (consciousness). A knowledge of laws is derived as the existing state of things yielded from the majjhimā discernment. In breathing meditation, while doing the saṃyojana between a body and a sense, we can see that sati of the majjhimā discernment yields viññāṇa which produces the khandha. With heeding the viññāṇa during the breathing meditation, we see that jhāna, a tranquil mind, can be accomplished while realizing understanding of the majjhima discernment in those saṃyojana. By the majjha understanding about an implement functions represented by kinds of twelve laws, we can know the current law is occurring from the majjhena discernment by mind and will be intervened toward a law ago. By the majjhena discernment, we can see the majjha understanding to be dependent arising of the twelve pariyāya such as pratītyasamutpāda. We expect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majjha will be useful for a discipline to develop majjhima patipada in the training methods of early Buddhism.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majjha에 대한 이해
III. majjha의 실천적 이해 majjhima와 majjhena
IV. 아나빠나 사띠에서의 majjha의 구현과 고찰
V.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근중(Kim, KeunChung). (2017).니까야 Majjha 의 이해와 초기불교 수행체계에서의 Majjha 의 구현. 불교학연구, 52 (52), 199-229

MLA

김근중(Kim, KeunChung). "니까야 Majjha 의 이해와 초기불교 수행체계에서의 Majjha 의 구현." 불교학연구, 52.52(2017): 199-2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