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grammaticalization of ‘結果’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백지훈(Baek, Ji-Hun)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中國學 第60輯, 123~14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록】 현대중국어에서 ‘结果’는 명사, 접속사, 담화표지 등의 기능으로 사용된다. 본고는 이 세 기능을 문법화의 결과로 보고, ‘结果’가 형성하고 있는 기능적 네트워크에 대해 문법화론의 주요 개념으로 해석을 시도해 보았다. 논의는 크게 통사적 측면의 변화와 의미적 측면의 변화로 대별해 진행하였다. 통사적 측면에서의 변화 양상은 탈범주화로 설명되고, 재분석의 기제가 작동한 결과 명사에서 접속사와 담화표지로 문법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미적 측면에서는 먼저 ‘结果’의 어원어로서의 의미가 일반화되어 가는 점에 주목하였는데, 이는 ‘结 果’의 통사적 변화의 가능성을 열어주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아울러 ‘结果’의 의미 변화 양상은 의미지속성 원리, 잃고-얻기 모형 및 주관화의 각도 등의 측면에서도 설득력 있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结果’ is multifunctional in the modern Chinese language. It mainly functions as a noun, a conjunction or a discourse mark. This article considers the categories of ‘结果’’s functions as a result of grammaticalization and tries to examine them from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ories. The research was focused on the changes in two different levels - syntactic and semantic, and the conclusions drawn are as below;
Firstly, at a syntactic level, the grammaticalization of ‘结果’ is a process of decategorization. The process that ‘结果’ changes from a noun which is a main category to a conjunction and to a discourse mark which are minor categories,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of obtaining syntactic independence (non-dependenc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hanges of syntactic circumstances. It presents a transitional stage from a noun ‘结果’ to a conjunction ‘结果’, and explains that a reanalysis mechanism has worked during this process.
Secondly, the grammaticalization of ‘结果’ is observed at a semantic level. The changes of meaning of a word in grammaticalization is important since it is the starting point of grammaticalization, and it operates the process as well. First, the meaning of the noun ‘结果’ as a root word had generalized and then it provid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extending to a conjunction and a discourse mark.
These three functions might be seen different mutually at the first glance, but they are sharing the semantic feature of [+final status] on the basis of a persistence principal even though the meaning of ‘结果’ is generalized.
목차
1. 머리말
2. 현대중국어에서 ‘结果’기능
1) 명사 ‘结果’
2) 접속사 ‘结果’
3) 담화표지 ‘结果’
3. ‘结果’의 문법화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과 근대의 바다 ― 한국과 중국의 20세기 전반기 바다 관련 시 고찰
- 중국어 문화소통능력 제고를 위한 제언 ― 호칭과 인사법을 중심으로
- 강유위의 대동사상의 사상적 함의와 중국적 사회주의의 현대화의 연관성
- ‘結果’ 문법화 소고
- 『虞初新志』 작품 속의 狂人 형상 연구
- 중국 조선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정책변화 고찰
- 손오공과 諸神의 전투에 대한 불교적 독해
- 협동학습 모형을 활용한 중국어 고문 교육 연구
- 중국어의 만주어 차용어 연구
- 한한령(限韩令)에 대한 중국 언론보도 사회관계망분석(SNA) 연구
- 루쉰과 량스추의 번역논쟁에 관한 小考
- 康東偉, 王志成, 羊米林 (191-208) - 以感情承諾及領導-成員交換關系爲中心的_究
- 魯迅和周作人內心世界探究 ― 以《喝茶》爲例
- 한중 무역변화에 대한 한중 FTA 발효효과 분석 ― 전자기기산업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대만 문단에서 활약한 조선인 박윤원
- 20세기 초 중국유학생 잡지를 통한 ‘문사(文士)’ 의식의 변화 고찰 * 1) ― 루쉰(魯迅)의 일본 유학시기를 중심으로
- 淺談中韓文化交流的現狀、問題與對策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