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속 공포유발 혐오성 이미지 수용에 따른 관객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 연구

이용수 191

영문명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 Subjectivity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Aversive Images in Horror Movie : Focused on Q-methodology
발행기관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저자명
현승훈(Hyun, Seunghoon)
간행물 정보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2권 2호, 119~14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예술에 있어서 공포의 표현은 인간성의 상실, 환경의 파괴, 인간관계에서의 소통의 부재 등을 소재로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예술작품에 표현된 공포 이미지에 대한 인간의 감정은 사회적, 외부 환경적, 심리, 유전적 원인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여러 예술 장르 중 영화는 이러한 공포 유발의 원인들을 표현하기 위해 이야기(내용)와 영상이미지(형식)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관객의 공포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공포영화에 있어 공포를 유발하는 이미지는 매우 중요한 관객 수용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포영화의 이미지와 표현방법에 대한 관객 인식유형의 연구는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방법론 중 하나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공포 영화 속 혐오성 이미지에 대한 수용자의 주관적 감정의 상태와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신체적 가해에 대한 공포 감정을 느끼는 유형이다. 이 유형은 잔인함 혹은 신체적 가해로 인해 나타나는 불안함을 공포의 감정으로 표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낯섦에 대한 공포는 알려지지 않는 악령이나 초자연적 현상 혹은 여성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기형적 혐오성에 대해 공포를 느끼고 있는 유형은 이질적인 것들 인간과 다른 괴물이나 외계 생명체에 대해 공포의 감정을 갖고 있는 유형이다. 이러한 분석으로 도출되는 가설을 바탕으로 추후 계량적 방법론을 통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 된다면 더욱 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difference between anxiety and fear depends on whether the duration of emotions. Today, fear representation for art has been shown in many fields as a material loss of humanity,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 absence of such communication in relationships. In particular, many of the artistic genre is used with the content and form to express this fear-induced causes. These representations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horror of the audience. Therefore, images that cause fear in a horror movie can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audience acceptance. However, studies of audience awareness for the type of images and representations of horror movies are not carried out yet. In this study, us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one of Q methodology, we analyzed the status and type of subjective feelings of the audience to hate a character in a horror movie. The result could be derived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audience subjectivity. First is the type of emotions you feel the fear of physical violence. This type is expressed by feelings of fear that instability appears due to cruelty or physical attacks. Next, the fear of non-certainty is the type who feel the fear of evil spirits or the supernatural or women is not known. Finally, the type of feeling fear for the deformed creature is a type that has a sense of fear about the disparate things that humans and other monsters or aliens.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공포와 추(醜)이미지에 관한 이론적 논의
3. 연구방법 및 설계
4. 분석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승훈(Hyun, Seunghoon). (2017).영화 속 공포유발 혐오성 이미지 수용에 따른 관객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2 (2), 119-141

MLA

현승훈(Hyun, Seunghoon). "영화 속 공포유발 혐오성 이미지 수용에 따른 관객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 연구."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12.2(2017): 119-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