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성상인의 공급사슬망 변화와 유통 관리적 유형
이용수 48
- 영문명
- The Changes and Types of Supply Chain on the Gaeseong Merchants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노혜경(Hye-Kyung Roh) 노태협(Tae-Hyup Roh)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26집 제4호(통권60호), 49~7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성상인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사상(私商)으로서 가장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상품 공급망을 갖추고 있었다. 현대 시장 경제에서 효율적인 공급망을 갖추기 위해 힘쓰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 후기 시장 경제에서도 공급망 관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7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개성상인의 상거래 활동에 대한 사료를 바탕으로 공급사슬망의 관점에서 이들의 상거래 활동 사례를 분석하였다. 개성상인의 상거래 활동을 현대적 의미의 공급사슬망의 유형으로 나누어 보면 ⅰ.생산, ⅱ.생산/유통, ⅲ.유통, ⅳ.유통/판매, ⅴ.판매, ⅵ.생산/유통/판매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생산 활동 참여 유형은 생활에 필요한 물자나 용역을 만들어 내는 행위로서, 자본투자로 이익을 얻음으로써 생산에 일조하는 형태와 제조업 형태를 포함하였다. 생산/유통 참여 유형은 생산에 참여하여 물품을 만든 후 유통시키는 과정으로 분류 되고, 유통 참여 유형은 개성상인의 일상적인 참여 과정으로 인삼, 양대, 포목 등 다양한 물품의 유통을 주도했다. 유통/판매 참여 유형은 현대적 개념에서의 도‧소매 및 물류 운송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업 간의 상거래(B2B), 기업과 소비자 간의 상거래(B2C)가 공존하는 형태이다. 판매 참여 유형은 직접 소비자에게 파는 과정으로서 기업과 소비자 간의 상거래(B2C)와 기업과 정부 간의 상거래(B2G) 형태를 포함한다. 생산/유통/판매의 전 과정 참여 유형은 공급사슬망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형태로서 대규모의 자본이 소요 되는 형태가 주를 이룬다. 개성상인의 공급사슬관리의 시기별 변화를 보면 17~18세기에는 생산지로 직접 찾아 가 대규모의 자본으로 상품을 집중 매집하여 중간 유통 단계를 장악하였으며, 19세기에는 개성상인이 점차 생산에까지 관여하여 공급사슬망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여기에는 개성상인의 상업자본이 산업자본으로 확대되는 큰 변화가 있었다. 개항 이후부터는 상업 환경의 변화와 뒤이은 일제강점기의 정치․경제․사회적 변화로 인해 개성상인은 자본은행을 비롯한 여러 업종에 투자를 시도하여 자본의 진화를 꾀함 과 동시에 경영의 다각화를 진행하는 변화 형태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Gaeseong merchants are one of the best merchants groups which had a broad and systematical supply chain networks. As the modern market economy tries to have a efficient supply chain network, there were various effort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is study analysed the commercial activity cases of the Gaeseong merchants from a supply chain viewpoint, based on the historical materials from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of Chosun Dynasty. Compare with the types of supply chain of the Gaeseong merchants’ commercial activities for the contemporary meaning, it can be divided into six types :ⅰ. Production, ⅱ. Production/Marketing channel, ⅲ. Marketing channel, ⅳ. Marketing channel/Sales, ⅴ. Sales, ⅵ. Production/Marketing channel/Sales.
For the periodical changes of the supply chain management of the Gaeseong merchants, in the 17-18th, they went to the production sites to buy up all goods and held the middle marketing channels using the large capital. In the 19th, they were engaged in production and took all parts of the supply chains. There were big change from commercial capital to industry capital. As the commercial environment changes and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hanges during Japanese ruling era, the Gaeseong merchants, after open a port, showed the various trials to evolve the capital such as capital bank and to diversify business area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공급사슬망의 유형 분류
Ⅳ. 공급사슬망 유형별 사례
Ⅴ. 공급사슬망관리의 시기별 변화
Ⅵ.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기업 기부에 대한 실증분석
- 경영사학 제26집 제4호(통권 60호) 부록
- 한국경제의 발전과정을 통해 본 한국농업의 변천과 역할
- 담연 최종건 회장의 생애와 기업가정신
- 인도에서의 마이크로 보험
-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이 기업의 CSR성과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사평가 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지속적 혁신활동
- 성우오토모티브의 성장역사와 성공사례연구
- 건설업의 변천사 및 경영효율성에 관한 비교연구
- 개성상인 삼포경영 원가계산 구조 분석 Ⅰ
- SK의 성장과 한국경제발전의 기여도에 관한 연구
- Historical Developments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in a Supply Chain
- 한국 농업 투·융자 부문의 시대별 변천과정과 정책시사점 고찰
- 벤처캐피탈 산업의 발전과 역할의 진화과정
- 중국기업의 對한국 FDI 진입전략 및 성과인식에 관한 연구
- Selling Cotton Thread in China before 1945
- 한국 섬유산업과 노동시장, 1945~2004
- 개성상인의 공급사슬망 변화와 유통 관리적 유형
- 경영사학 제26집 제4호(통권 60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