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실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수용

이용수 76

영문명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Reflected in History Classroom and Students’ Understanding
발행기관
한국역사교육학회
저자명
조지선
간행물 정보
『역사교육연구』제27호, 7~5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역사 수업을 매개로 하여 교사의 역사교육관이 학생들의 역사이해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의 역사교육관을 구성하는 근원을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연계하여 성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역사가 단지 지나간 과거의 사실이 아니라 현재 사회와 학생들의 삶과 연결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역사 수업을 통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현재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역사적 행위자의 삶에 공감을 느끼며 자신의 삶과 비교하여 성찰하는 학생들도 있다. 다만 이런 생각이 실천으로 이어질 지는 의문이다. 학생들은 역사와 역사교육의 실천성을 ‘해야 하는 행위’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교사는 역사가 인간의 주체적 선택의 결과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역사 수업을 통해 현재의 삶 속에서 ‘실천하는 행위’를 선택하길 기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은 역사를 배우는 이유를 교훈에서 찾는다. 특히 학생자신의 가치관과 현실 인식, 인간 본성에 대한 관념 등이 작용하며 상반된 교훈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교실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역사이해는 상당부분 연결되고 있다. 그렇지만 학생들이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과 사회 인식, 인간 본성에 대한 관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자기 나름의 역사적 관점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호인식 주체로서 교사와 학생이 당위론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역사적 사실과 가치에 대해 함께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analyze how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reflecting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affects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had introspected the origins which composed student’s historical perspective related with teacher’s view of history education. The results analyz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had wanted students to think history to connect history knowledge to current society and students’ life, not merely regarding history as truth of the past. Students could connect historical truth of the past to current society issues as a result of history learning. Some students went even further and felt empathy to the historical agents and looked back on themselves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agents. There just remains some doubts that this thought can lead students into practice, because students accept history and the practicability of history education as an oughtness. Second, the teacher had considered history as a consequence of human autonomous choice and expected students to move forward to be ‘autonomous subject’ in their present lives through history learning. Nevertheless, most of the students had sought for reasons to study history from learning lessons. Sometimes, they had made a choice of conflicting lessons, because they were affected by their own values and perception of reality, notion of human nature and so on. As mentioned above, the view of teacher’s history education and student’s history understanding in history classroom were considerably connected, but it also seemed that students did not embrace teacher’s history educational view as it is. Students had formed their own historical perspective in combination with their sociocultural context, perception of society, notion of human nature and so on.

목차

내용요약
Ⅰ. 머리말
Ⅱ. 교실 수업과 교사·학생의 역사교육관
Ⅲ.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수업실천
Ⅳ. 교실 수업을 통한 학생의 역사교육관 수용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지선. (2017).교실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수용. 역사교육연구, (27), 7-50

MLA

조지선. "교실 수업에 반영된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학생의 수용." 역사교육연구, .27(2017): 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