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신석기시대 조기의 석기제작에 대한 연구

이용수 656

영문명
A Study on the method of making stone tools in early stage of Neolithic Ag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윤정국(Yoon Jeongguk)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33호, 33~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7.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석기의 기술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신석기시대 조기단계에서 출토되는 석기의 제작과정 과 체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먼저 조기단계를 대표할 수 있는 죽변리유적과 동삼동유적을 선정하고, 석기 기종별로 제작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석기를 검토한 결과 조기단계에서는 3가지의 제작체계 속에서 13가지의 제작방법이 확인되었다. 석기제작체계는 소재에 따라 자갈돌몸돌제작체계, 판상제작체계, 격지제작체계가 확인되었다. 기종별로 제작방법은 총 13가지의 방법이 확인되었는데 절반가량이 자갈돌몸돌체계를 통해 제작 되는 기종이 많았고, 나머지는 특정석기와 소형석기의 제작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조기단계의 석기제작의 특징을 보면 이전 시기에 비해 3가지 변화상이 확인되었다. 첫째는 자연돌소재에 대한 기술적용이 다양해지고 새로운 기종이 등장한다. 둘째는 돌날소재을 이용한 제작양상은 사라지고 새로운 판상소재을 활용한 제작양상이 시작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마연기법을 통한 석기제작이 강화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아마도 해수변의 변동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업경제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석기의 형태변화가 필요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소재의 선택 과 다양한 석기제작방법이 추가되었다.본고는 석기의 기술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신석기시대 조기단계에서 출토되는 석기의 제작과정 과 체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래서 먼저 조기단계를 대표할 수 있는 죽변리유적과 동삼동유적을 선정하고, 석기 기종별로 제작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석기를 검토한 결과 조기단계에서는 3가지의 제작체계 속에서 13가지의 제작방법이 확인되었다. 석기제작체계는 소재에 따라 자갈돌몸돌제작체계, 판상제작체계, 격지제작체계가 확인되었다. 기종별로 제작방법은 총 13가지의 방법이 확인되었는데 절반가량이 자갈돌몸돌체계를 통해 제작 되는 기종이 많았고, 나머지는 특정석기와 소형석기의 제작에 이용되었다 그리고 조기단계의 석기제작의 특징을 보면 이전 시기에 비해 3가지 변화상이 확인되었다. 첫째는 자연돌소재에 대한 기술적용이 다양해지고 새로운 기종이 등장한다. 둘째는 돌날소재을 이용한 제작양상은 사라지고 새로운 판상소재을 활용한 제작양상이 시작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마연기법을 통한 석기제작이 강화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는 아마도 해수변의 변동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업경제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석기의 형태변화가 필요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즉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소재의 선택 과 다양한 석기제작방법이 추가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production of stone tool excavated at the early stage of Neolithic Age. The subjects Jukbyeon-ri site and DongSamdong site were selected. As a result, At the early stage, 13 production methods were confirmed in three production systems. Early stone tool was identified as pebble-core technology, flake technology, flat stone technology. and A total of 13 methods were identified for each stone tool type. Half of the 13 were made with pebble-core technology. And the rest was used to produce certain stone tool and small stone tool.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early stage stone tool production. First,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to natural stone materials becomes diverse. and New types of stone tools are identified. Secondly,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blade material disappears. and New flat stone technology is utilized. Finally, the frequency of making stone toole increases through the use of marble technology. These results are probably due to changes in sea level and natur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as the livelihood styl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form and production method of stone tool have changed.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술적인 석기연구와 대상유적의 선정
Ⅲ. 대상유적의 석기 검토
Ⅳ. 석기 기종별 제작양상과 방법
Ⅴ. 석기제작체계의 양상과 특징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정국(Yoon Jeongguk). (2017).한국 신석기시대 조기의 석기제작에 대한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33), 33-56

MLA

윤정국(Yoon Jeongguk). "한국 신석기시대 조기의 석기제작에 대한 연구." 한국신석기연구, .33(2017): 3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