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슘나로의 진입과 상승 주체에 대한 고찰

이용수 44

영문명
On the characteristics of kundalini as subject entering and ascending through the susumna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박영길(PARK, Young-Gil)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6호,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꾼달리니는 수슘나의 입구에서 잠들어 있지만 일단 각성된 후엔 수슘나로 진입해서 정수리의 브라흐마란드라로 상승한다는 것은 하타요가에서 하나의 정설로 간주된다. 그리고 꾼달리니가 브라흐마란드라에 머무는 것은 ‘삼매’, ‘해탈’, ‘업의 소멸’ 등 하타요가가 추구하는 최고의 경지와 동일시된다. 『하타(요가)쁘라디삐까』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점은,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의 시점’에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꾼달리니로 표현했던 것이 아니라 쁘라나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운율이나 문맥을 고려한 일회적이고 예외적인 표현이 아니라 『하타(요가)쁘라디삐까』의 일관된 입장이다. 여기서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가 꾼달리니인가 아니면, 쁘라나인가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만약 수슘나로 상승하는 주체가 쁘라나라면 바로 이 쁘라나와 꾼달리니의 관계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세 번째는『하타(요가)쁘라디삐까』가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꾼달리니로 표현하지 않고 쁘라나로 표현한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의문과 관련해서 흥미로운 것은 꾼달리니의 형질(形質)에 대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먼저,『하타(요가)쁘라디삐까』와 『월광』에 의거해서 꾼달리니가 각성된 후 수슘나로 진입하는 주체가 쁘라나이고 또 쁘라나가 수슘나로 상승해서 브라흐마란드라에 도달하는 것이 하타요가의 목표 즉, 해탈의 경지와 동일시된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수슘나는 이다, 삥갈라(pingala)와 달리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에 활성화되는 특별한 나디(nadi)이다.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쁘라나로 표현했던 문맥’에서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각성된 꾼달리니’와 ‘수슘나로 상승하는 주체로서의 쁘라나’가 의미상 교환가능하다는 점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쁘라나’는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에 생성된 어떤 특별한 쁘라나이고 이것은 ‘이다와 삥갈라로 흐르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쁘라나’와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그리고 꾼달리니가 각성된 후 ‘쁘라나가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해서 브라흐마란드라에 도달하는 것’은 해탈, 업의 소멸 등 하타 요가가 추구하는 최고의 경지로 간주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겨진 의문은, ‘각성된 꾼달리니’와 ‘수슘나로 진입하는 쁘라나’가 동일하다면 ‘꾼달리니가 각성된 후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왜 꾼달리니로 표현하지 않고 쁘라나로 표현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것에 대한 단서는 수슘나 나디의 형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수슘나는 해부학적 기관이 아니라 마치 동양 의학의 경락(經絡)처럼, 기체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둔다면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 시점’에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쁘라나로 표현한 이유는 한 가지 뿐이다. 그것은 ‘각성된 꾼달리니’의 형질(形質)이 정액이나 혈액과 같은 액체가 아니라 쁘라나와 같은 기체라는 것이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Haṭhayoga s theory, the kuṇḍalinī lies dormant at the entrance of the suṣumnā which, after becoming awakened, advances to the suṣumnā and rises up to the brahmarandhra at the vertex. Furthermore, the kuṇdalinī which dwells at the brahmarandhra is referred to as samādhi, and is considered as the state of liberation or mokṣa. The Haṭhayogapradīpikā and its commentary, the Jyotsnā have the peculiarity of expressing the subject of ‘the kuṇḍalinī after its awakening’ as ascending to the suṣumnā not by using the term kuṇḍalinī, but instead by using the term prāṇa . This is not simply a singular occurrence due to metrical consideration, but a consistent viewpoint found throughout the Haṭhayogapradīpikā . What is more puzzling is that ‘the kuṇḍalinī after its awakening, advances to the suṣumnā and the ascending subject is prāṇa’ occurs very consistently in its commentary, the Jyotsnā . Here, the following doubts can be formulated. The first one is regarding ‘the kuṇḍalinī after its awakening’ and concerns whether the ascending subject is kuṇḍalinī or prāṇa. The second one, granted that the ascending subject is prāṇa, is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prāṇa and kuṇḍalinī. The third one concerns the reason why in the Haṭhayogapradīpikā the ascending subject is not expressed as being kuṇḍalinī but prāṇa. Here, a hint ab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kuṇḍalinī can be discovered,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 whether the ascending subject according to the Haṭhayogapradīpikā and the Jyotsnā is prāṇa and whether its advance to the suṣumnā and reaching the brahmarandhra is identical to the goal of Hathayoga. Here, suṣumnā, the corridor of prāṇa s ascendancy, is referred to as iḍā, it is, unlike piṅgalā, a special nāḍi which is activate after kuṇḍalinī s awakening. The awakened kuṇḍalinī and prāṇa as the ascending subject are interchangeable terms. Thus, there is only one reason why the ascending subject is referred to as prāṇa. Namely, the characteristic of awakened kuṇḍalinī is not a fluid similar to sperm, but a gaseous body similar to prāṇa. The suṣumnā is not an anatomical organ, but something akin to energy channels as discussed in oriental medicine. Thus, as it is a channel where a gaseous body flows through, it is correct in this context to describe the awakened kuṇḍalinī as prāṇa.

목차

Ⅰ. 수슘나로의 진입에 대한 특이한 입장
Ⅱ. 꾼달리니의 각성과 쁘라나의 상승
Ⅲ. 쁘라나 상승의 궁극성
Ⅳ. 각성된 꾼달리니의 형질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길(PARK, Young-Gil). (2011).수슘나로의 진입과 상승 주체에 대한 고찰. 요가학연구, (6), 1-34

MLA

박영길(PARK, Young-Gil). "수슘나로의 진입과 상승 주체에 대한 고찰." 요가학연구, .6(2011):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