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二入四行論』의 인도철학적 이해

이용수 227

영문명
Indian Philosophical Aspects i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발행기관
한국요가학회
저자명
김호성(Hosung Kim)
간행물 정보
『요가학연구』제6호, 1~4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9.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달마대사의 유일한 친저로 평가받는 『이입사행론』은 중국에서 저술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 속에는 요가와 베단타의 사상과 상응하는 측면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첫째는 ‘응주벽관(凝住壁觀)’이라는 말은 ‘응주와 벽관’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응주는 팔지 요가의 여섯째 응념(dharana)에 해당하고 벽관은 다섯째 제감에 해당하는 것이다. 둘째는 理入과 行入의 二入은 베단타학파의 소의경전의 하나인 『기타』에서 말하는 갸냐요가(jnanayoga)와 까르마요가(karmayoga)에 상응한다. 셋째는 행입(行入) 중의 무소구행(無所求行)은 행위 밖에 목적을 설정하지 말고 행위하라는『기타』의 까르마요가에 상응하며, 칭법행(稱法行)은 이입(理入)에 입각하여 하는 행이라는 점에서 갸냐요가에 입각하여 행하는 까르마요가에 상응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즉 칭법행은 칭리행(稱理行)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둘째와 셋째의 측면을 통해서 『이입사행론』과 기타』는 공히 지행회통(知行會通, jnana-karma-samuccaya)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이입사행론』안에 정통 인도철학적 측면이 나타난다고 본다면, 중국에 들어온 인도불교는, 특히 선(禪)의 경우에는 중국의 틀로 인도불교를 이해하는 격의불교(格義佛敎)의 흐름과는 달리, 중국적인 것으로 토착화되기 전에는 인도적인 것을 그대로 받아들였던 수용의 방식 역시 존재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송대(宋代)의 계숭(契崇)이 『전법정종기(傳法正宗記)』에서 『이입사행론』을 강하게 비판했던 것이리라. 바로 그 점은 오히려 『이입사행론』에 인도철학적 측면이 드러나 있다고 하는 나의 주장을 반증해 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영문 초록

A Buddhist text,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二入 四行論), is usually attributed to Bodhidharma, the traditional founder of Chan Buddhism. Although the evidence is ambiguous, scholars generally agree that this work is solely his. In accordance with Bodhidharma’s hagiography it is naturally assumed that the text was composed in the Chinese context, and thus contained Chinese thought characteristic of Geyi Buddhism (格義佛敎, “matching the meanings”). I would argue, however, that the text was influenced by Indian philosophical thoughts, especially the Yoga and Vedānta schools.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understand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in terms of Indian philosophical aspects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text in contrast with that of previous scholarship.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ga school are apparent i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 The term ‘níngzhù bìguān’(凝住壁觀), in the definition of “two entrances,” has been interpreted as “[who] in a coagulated state abides in wall‐ examining” and by previous exegesis the phrase has been interpreted as a compound word. I, however, argue that the phrase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as separate nouns: “firmly abiding in attentive contemplation(凝住, ‘níngzhù’),” and“wall‐gazing(壁觀 bìguān).” In this case, the former term should correspond with the sixth dhāraṇa(凝念) of the “eight limbs” of Yoga(Aṣṭāṅga Yoga) in the Yoga Sūtra compiled by Patañjali.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hould be similarly interpreted with the fifth of them, i.e. pratyāhāra (制感). The concept of “wall‐gazing” implies meditation on a wall‐image, that is, forming a barrier so that a practitioner’s mind does not wander and so that external objects cannot intrude upon the internal mind. The external world is seemingly extinguished or destroyed but in reality external objects cannot be removed or extinguishing in this meditation. Thus, I would argue that this practice means “withdrawal of the senses,” or more precisely “withdrawal of the sense organs” from their external object, and consequently the two practic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One the other hand, the term “firmly abiding in attentive contemplation(凝住, ‘ níngzhù ’)” is comparable with dhāraṇa (凝 念) meditation, a stage of concentration of the mind(citta) upon a physical object such as a flame of a lamp, the midpoint of the eyebrows, or the image of a deity. The logical clue can possibly be found in Chan patriarch Tsung-mi(宗密)’s interpretation of Chan. Even though his explanations of the term has not been directly followed in the northern Chan tradition, it is my perspective that the phrase “firmly abiding in attentive contemplation(凝住, níngzhù’)” should be regarded as a separate term. Secondly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Vedānta school are apparent in The Two Entrances and Four Practices , especially concepts shared in common with the Bhagavad Gītā,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foundational texts in the Vedānta school.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입(理入)의 요가적 이해
1. 벽관과 제감(制感, pratyahara) 2. 응주와 응념(凝念, dharana)
Ⅲ. 이입(二入)의 베단타적 이해
1. 이입(二入)과 지행회통(知行會通, jnana-karma-samuccaya) 2. 행입과 행위의 길(karmayoga)
Ⅳ. 문화교류사와 선종사의 평가
1. 인도의 요가, 중국의 선 2. 선종사가 반증하는 인도적 성격
Ⅴ. 맺음말
약호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성(Hosung Kim). (2011).『二入四行論』의 인도철학적 이해. 요가학연구, (6), 1-48

MLA

김호성(Hosung Kim). "『二入四行論』의 인도철학적 이해." 요가학연구, .6(2011): 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