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에 나타난 ‘주체적 근대화’와 마음수양론

이용수 305

영문명
Subjective Modernization of Buddhism and Mind Practicing in the Buddhist Restorationism of Manhae( 萬海 ) Han Yong-un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정혜정(Jung, Hye-j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1호, 125~15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6.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만해의 불교유신사상은 한국불교의 전통적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서구 근대사조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토착적 근대화를 이끌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만해가 주목한 근대사조는 자유주의, 평등, 박애, 구세주의, 세계주의, 사회진화론, 사회주의 등이었지만 그러나 이 모두는 서구 근대 개념을 그대로 이행한 것은 아니었다. 만해의 자유는 양계 초와 칸트의 진아론을 논하면서 비판적으로 전개된 것인데, 이는 단순히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뜻하는 정치적・종교적 자유뿐만 아니라 궁극적 진리와 깨달음에 이르는 근원적 자유를 내포한 것이었다. 즉 그의 자유란 개인적 자유와 공유적 자유를 모두 아우 르는 개념으로서 ‘공유적(公有的) 진아(眞我)’와 ‘각구적(各具的) 진아’의 동시성을 의미 하고, ‘유아독존(唯我獨尊)’으로 총칭된다. 유아독존이란 전체를 아우르는 독존이기에 걸림없는 자유요 자타가 없는 평등의 진아이다. 또한 만해가 말하는 사회진화 역시 우승열패, 약육강식, 적자생존의 사회진화가 아니라 ‘해탈의 힘’에 의한 사회진화이다. 따라서 우승(優勝)이란 강식(强食)・독식(獨食)이 아니라 ‘만물을 애육(愛育)하는 자’요, 열패 (劣敗)란 사회에 대하여 ‘힘을 제공할 의무를 소실한 자’이다. 만해가 주장하는 불교사회 주의 또한 마르크시즘의 경제혁명과 달리 全생명의 우주혁명이자 불국토의 실현을 통한 사회진보이며, 불교의 민중화와 공익을 향한 사회참여가 특징을 이룬다. 그리고 이모든 것 바탕에는 禪의 마음수양이 우선됨을 강조하였다. 그는 전통학문분류와 근대학 문의 성격을 고려하여 보통학을 겸비한 인문학의 창도로서 불교학을 새롭게 자리매김 하고, 정신(正信)의 수양을 주장했다. 정신이란 유아독존의 각오(覺悟)가 있는 신앙을 말하고 사회진보를 수반하는데, 禪의 정신은 샘의 원천과 같고 사회진보는 이로부터 흘러 나오는 강호(江湖)와 같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Korean Buddhists of the post-Joseon Era critically examined the Western modern civilization and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succession of the spirituality and freedom through the development of Buddhist spiritual civilization. Manhae ( 萬海 ) reflected on the Buddhist tradition, and at the same time, dealt with Western modernity and modernization, and reinterpreted modern discourses on the base of Buddhist thought. The modern discourses of his attention were liberalism, equality, philanthropy, ideals of saving the world, cosmopolitanism, social evolution, and socialism. Manhae’s freedom comes from the enlightenment. It was also human and social liberation. His freedom is a concept of “only I am alone precious ( 唯我獨尊 )” that encompasses both personal freedom and shared freedom. The social evolution that Manhae speaks about is not same as that of Spenser’s. He opposed the social evolution theory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he saw that the excellent and the winner are not the ones who invade the weak, but love all beings, and the true power is in the power of liberation. Buddhist socialism, which is claimed by Manhae, is not the class revolution of Marxism but the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the realization of Buddhist land and the equality of mercy by universal life of enlightenment. But prior to all of these, Zen comes first. He considered the classifications of the traditional studies and the nature of the modern studies. He newly established Buddhist studies as the foundation of the humanities with the common sciences. Especially, he rejected superstition and emphasized right faith( 正 信 ) in the cultivation of mind. The mind refers to resolved faith and is accompanied by social progress. The spirit of Seon (Zen) is the same as the source of the spring, and the social progress is the same as a river flowing from it.

목차

I. 서론
II. 조선불교의 근대적 성찰과 주체성
III. 만해의 불교유신사상과 근대사조의 토착화
IV. 마음수양론과 주체적 근대화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정(Jung, Hye-jung). (2017).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에 나타난 ‘주체적 근대화’와 마음수양론. 불교학연구, (51), 125-157

MLA

정혜정(Jung, Hye-jung). "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에 나타난 ‘주체적 근대화’와 마음수양론." 불교학연구, .51(2017): 125-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