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여성운동의 참가의 정치: 1990년대 이후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375

영문명
Women’s Movements and The Politics of Engagement in Korea
발행기관
한국NGO학회
저자명
김경희(Kim, Kyoung-hee)
간행물 정보
『NGO연구』제1호 창간호, 121~14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3.05.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에 새로운 사회운동으로 부각되고 있는 한국의 여성운동은 1980년대에 민중운동으로 출발하여 90년대에 시민운동으로 성장해 온 역사적 연속성(continuity)을 가진 새로운 운동이라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여성운동 연합체인 한국여성단체연합을 연구대상 으로 하여, 80년대와 90년대의 여성운동의 주요활동과 운동담론의 분석을 시도한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80년대의 여성운동은 배타적이고 권위주의적인 분단국가의 성격과 사회운동의 계급 중심성이 여성 특수 과제보다는 일반적인 사회민주화와 민족의 자주성, 그리고 민중의 권력 획득이라는 삼민이념을 여성운동의 주요 담론으로 삼았다. 그러나 90년대의 여성운동은 동구권의 몰락과 민중운동의 쇠퇴와 정권교체에 따르는 사회 정치적인 변화 과정 속에서 민중 여성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용평등, 모성보호, 일상생활의 정치와 같은 여성 특수과제를 내용으로 하는 여성의 권리와 여성적 관점이라는 운동담론을 형성해왔다. 그리고 90년대의 이러한 운동담론은 전국단위의 활동가 조직을 중심으로 다양한 성향을 가지는 여성운동 조직들간의 연합을 이루면서 국내 여성운동의 쟁점들을 국제화하고 여성의제들을 제도정치의 장에서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정책으로 만들어내는 참가의 정치 (politics of engagement)로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ntinuity and newness of the present Korean women’s movement, which was started as a social movement for social democracy and people’s liberation in the 1980s. In doing so, the study analyzes the collective action frames revolving around priority issues of women’s movement in two comparable periods, the 1980s and 1990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In the period of 1980s, women’s movement adoped a Minjung ideology, which was the master frame of the 1980’s Korean social movement. The exclusionary authoritarian nature of Korean military regime and the centrality of class in the distribution of power account in part for the women’s movement’s orientation that gender struggles needed to be waged prior to specific struggles for women’s liberation. 2) In the 1990s, the collective action frame of the women’s movement transformed toward women-specific and women-centered contents. Major women’s issues, such as lifelong equal rights to work, motherhood protection, elimination of sexual violenc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everyday life politics have been shaping this frame. Also the study finds that in the end of the 1990s, taking the politics of engagement as a major strategy of women’s movement and using the same policy language, “gender mainstreaming” with the government, women’s movement has been plays a role in addressing women’s interests and women’s rights in institutional politics.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한국 여성운동의 연속성(continuity)과 새로움
III. 여성운동 담론의 변화: 여성의 권리와 여성적 관점으로
IV. 참가의 정치를 통한 여성운동의 제도정치 참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Kim, Kyoung-hee). (2003).한국여성운동의 참가의 정치: 1990년대 이후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NGO연구, (1(창간호)), 121-146

MLA

김경희(Kim, Kyoung-hee). "한국여성운동의 참가의 정치: 1990년대 이후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NGO연구, .1(창간호)(2003): 121-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