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음’의 삼위일체론

이용수 150

영문명
The trinitarian theology of Ma-em(heart) - imago Dei Trinitatis cor humanum est -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정승익(Jung Sengik)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39호, 61~10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우구스티누스는 삼위일체론을 탐구하는데 있어서, 언제나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유비들을 추구했다: 1) 하나이면서 셋이라는 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2) 유비에서 보이는 각각의 세 요소들이 성부, 성자, 성령의 구분되는 위격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3) 세 요소들이 분리된 듯 보이지만, 하나의 요소는 또 다른 요소들을 (그 자체로) 포함하는 관계개념(circumincessio)을 가져야 한다. 성인은 이들 조건을 충족시키는 삼위일체론적 유비를 탐구하면서, 동시에 가변적이고 물질적인 세계로부터 파생된 어떠한 모델도 최종적인 해답으로 수용하지 않았다. 그것은 불변한 속성을 지닌 하느님을 탐구함에 있어서, 가변적인 것들로부터 도출된 것들은 그 어떠한 것도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모든 변화하는 물질세계를 초월하는, 인간의 내면적인 순수의식의 현상에로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심리학적인 모델을 도출해 내었다: ‘존재-앎-의지’, ‘정신-앎-사랑’ 그리고 ‘기억-지성-의지’. 우리말에 ‘마음’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적 방법론과 그 요구 조건들을 어느 충족시킨다. 즉 마음은 때로는 그 말을 하는 사람의 존재를 의미하기도 하고, 그 사람의 생각이나 본질적인 부분을 지칭하기도 하며, 때때로 한 주체의 의지나 감성과 사랑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는 하나인 마음이 서로 다른 세 가지 실존을 갖는다는 삼위일체론적 현상의 첫번째 조건을 충족시킨다. 또한 마음의 삼중적인 세 요소들은 세 위격으로 존재하는 하느님의 개별적인 위격적 특성을 이해하는데도 충분하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겠다: “인간의 마음은 삼위일체 하느님을 닮았다.” 혹은, “창세 1,26에서 언급하는 하느님의 모상이란 인간의 마음을 지칭한다.” 혹은 “인간의 마음은 삼위일체 하느님을 알려주는 또는 비추어 주는 거울이다.” 그러나 마음의 유비는 관계개념을 갖지 못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가지 유비에서의 존재나 정신처럼, 그저 마음을 소유한 그 주체의 존재 자체를 지칭할 뿐이지 그 이상의 다른 요소들을 즉각적으로 포함하지 못한다. 또한 마음의 유비는 가변적인 물질세계를 초월한 순수 의식현상에 속하지 않고, 오히려 그보다 더 사물과의 관계성 안에서 그 의미나 쓰임새가 확장된다. 이 때문에 하느님의 구원경륜을 이해하는데 유용함을 보이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창세 1,26의 성경말씀을 보다 구체적으로 해설해 보면, “인간의 마음은 하느님의 모상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음에 대한 분석은 하느님을 알게 해주는 구체적인 통로가 되어주기에, 한국적인 문화 안에서, 보다 단순하고 친숙하고 평이한 용어들로써, 하느님을 이해해 볼 수 있는 소박한 출발점이 된다고 본다.

영문 초록

Saint Augustine tried to find the analogy to satisfy the three conditions for the studying of the trinitarian theology: 1) the analogy have to give the logical explanations how can be “unus natura, tres personae.” 2) the three elements must give the appropriate explanations of the Three Persons’ (Holy Father, Son and Holy Spirit) distinguished attributions, 3) it needs to have the concept of three persons’ relationship that is ‘circumincessio’ or ‘perichoresis’. And the Saint didn’t accept any analogies derived from the material and changeable world for the final destination of his trinitarian studies,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changeable things are not suitable to unchangeable God’s dimension. Finally, he found some psycological models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man’s soul, purely noetic dimension, that is transcendental over the material and changeable world: ‘esee-nosse-velle’, ‘mens-notitia-amor’ and ‘memoria-intellegentia-voluntas’. The analogy of ‘cor(heart, Ma-em in korean)’ satisfy the saint Augustine’s method and conditions presented above. ‘Ma-em’ indicate three differents meanings: 1) the ‘esse’ of the speaker’s subject, 2) the ‘essentia’ and ‘notitia’ of the subject, 3) the ‘voluntas’ ‘amor’ and ‘motus’. These three meanings give us the clearness to explanation of “unus natura, tres personae”, because ‘Ma-em’ is always just one thing even though it has three different exsistences. And so the analogy of ‘Ma-em’ satisfy the Saint’s first conditions. Besides, the three elements of the analogy of ‘Ma-em’ also give us explanation of the different attributions of the Three persons.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human being’s Ma-em(cor) is similar to Deus Trinitas.” or “The image of God presented in Gen.1,26 is the Ma-em(cor) of man.” or “The man’s Ma-em(cor) is the key and mirro to get know the mistery of Deus Trinitas.” But the analogy of ‘Ma-em’ doesn’t have the concept of relationship between three elements (=circumincessio). It indicates only the meaning of subject’s ‘esse ipsum’ without the others’ meanings, just like the ‘esse’ and ‘mens’ of the Saint’s first two analogies. And it doesn’t belong to the purely noetic dimension but includes the relation with the exterior and changeable world and it is more useful to explain the God’s Economy. Finally, the analysis of ‘Ma-em’ give us the knowledge of Deus Trinitas because “the men’s Ma-em(cor) is the imago Dei.”, and it could be the simpl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Deus Trinitas in the korean cultures through the using of easier and familiar word. (Gen1,26)

목차

들어가는 말
Ⅰ.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론적 방법론
Ⅱ. 자연으로부터의 유비들: 단순한 차원에서의 토착화
Ⅲ. ‘마음’의 삼위일체론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승익(Jung Sengik). (2016).‘마음’의 삼위일체론. 누리와 말씀, (39), 61-105

MLA

정승익(Jung Sengik). "‘마음’의 삼위일체론." 누리와 말씀, .39(2016): 61-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