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이용수 732

영문명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Spirituality, Spiritual Maturity, Burnout Outcomes :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Workplace Spirituality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한광현(Han, Kwang-Hyun)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1집 2권, 81~10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근로자들의 일터영성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및 일터영성 차원들과 소진행동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나아가 영적성숙도를 일터영성 변수들과 소진행동 간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국내 상장된 23개 제조업 388명의 사무관리직 근로자들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일터영성은 네 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일터영성의 개념은 오직 일터에서 개인이 경험하는 의식만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정리하였으며, 확인된 변수들의 개념은 첫째, 일에 대한 소명의식 둘째, 동료와의 연대의식 셋째, 조직 공동체의식 넷째, 일터에서의 초월 의식 등이다. 일터영성을 구성하는 이와 같은 4개 변수들은 소진을 구성하는 변수들인 감정적 탈진, 비개인화, 저성취감 등과 모두 부적 관련성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일터영성은 근로자들의 소진을 경감시켜 줄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대처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영적성숙 도가 일터영성과 소진변수들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모든 관계에서 조절효 과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하지만 영적성숙도는 조직 공동체의식과 모든 소진변수들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여주는 것처럼, 대다수의 관계에 있어서 일터영성에 따른 소진경감에 조절적 영향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영적성숙도의 수준이 높을수록 일터영성에 따른 소진의 감소폭이 커진다는 점을 말하는 것이다. 영적성숙도가 일터영성과 소진 간 다수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은 의미 있는 연구결과이다. 기업은 소진을 해결할 수 있는 근원적이면서 체계적인 관리방안 구축이 필요하며, 향후 지금까지 고려하지 않았던 일터영성이 소진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주요 해결책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resent research are to develop a scale for measurement of the workplace spirituality and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burnout, also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 matur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burn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research was showd that the scale of workplace spirituality consist of 4 facto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8 office workers in 23 companie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4 factor structure, and 18 items were selected to construct a final workplace spirituality scale. Second,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workplace spirituality was related to burnout outcomes. The result was showed that the workplace spirituality had reduced the worker’s burnout. Third, spiritual maturity revealed that it had moderating effects in mos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burnout, but it failed to predict moderating effect in part of the relationships. However, spiritual maturity wa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organization community and burnout. A sense of organization community is one of four factors in workplace spirituality. These findings contributes greatly to the understanding of workplace spirituality within office workers in companies. Additionally, the paper contributes to extend of research area in spirituality, in which empirical studies on spirituality have been scarce until now.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적 분석
Ⅳ. 가설의 검증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광현(Han, Kwang-Hyun). (2017).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1 (2), 81-107

MLA

한광현(Han, Kwang-Hyun). "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1.2(2017): 81-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