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시대 ‘훈민정음’ 창제의 문해교육적 의미

이용수 518

영문명
A Study on the Literacy Educational Meaning of Creating ‘Han Guel’ in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이은희(Lee, Eun-hee) 양병찬(Yang, Byung-chan)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1권 제2호, 49~7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글 창제의 의미와 그 이후 조선시대에 있었던 문해교육의 전개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포 이후 다양한 제도 정비와 서책의 언해라는 위로부터의 정책적 노력과 함께, 실제 백성들이 삶의 도구와 향유라는 밑으로부터의 문자생활이 광범위하게 전개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전통 사회에서 글자(문해)란 지배계층의 특권으로 피배계층을 교육으로 부터 배재시키는 정책적 도구였다. 한글 창제의 문해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한글 창제로 인해 조선에서의 한글 문해는 특수한 계층의 ‘특권(特權)’이었던 문해 능력을 통치자의 ‘시혜(施惠)’로 인한 문해접근 기회가 확대되었다. ② 한글 문해는 유교의 덕목을 중심으로 한 백성들의 교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③ 세종은 한글의 창제를 통해 왕도정치를 실현하려 하였다. ④ 조선시대 전 기간 동안 공식문자는 한자로, 일상생활에서의 문자생활은 한글이라는 ‘이중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한글 창제는 새로운 글을 만들었다는 것을 넘어 글자의 대중화를 통해서 모든 백성에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Korean manuscript and the process of literacy education occurred in Joseon Dynasty after the creation. This research looks for the broadly developed advance of the life of letters which is also known as the tools and enjoyment of life for the people, as well as the various system maintenances after proclamation and the books of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in which the effort from the superiors. In traditional society, letters were the political tools in which with the privileges of ruling class, the lower classes were withdrawn excluded in education. The signification of literacy education of invention of Korean letters are as followed... ① As a consequence of the creation of Korean letters, the literacy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as to magnify the literacy ability which was the special privilege of classes which was expanded by the ruler s favor. ② The literacy education concentrates to the reformation of the people focusing on the virtue of Confucianism. ③ King Sejong attempted to fulfill royal politics through the invention of Korean letters. ④ Joseon Dynasty had dual structure in which the official language was Chinese while the social language was Korean letters. The invention of Korean letters has created the opportunities to learn by all people through popularization of letters beyond the creation of the unique language.

목차

Ⅰ. 서 론
Ⅱ. ‘훈민정음’ 창제, 문해교육의 출발
Ⅲ. 한글 확산을 위한 국가 차원의 추진 노력
Ⅳ. 한글 창제의 문해교육적 의미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희(Lee, Eun-hee),양병찬(Yang, Byung-chan). (2017).조선 시대 ‘훈민정음’ 창제의 문해교육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31 (2), 49-73

MLA

이은희(Lee, Eun-hee),양병찬(Yang, Byung-chan). "조선 시대 ‘훈민정음’ 창제의 문해교육적 의미." 교육사상연구, 31.2(2017): 4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