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라캉의 욕동이론에 의거한 교사의 역할 연구

이용수 267

영문명
Role of a Teacher for the Lacan’s Drive to Study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목영해(Mok, Young-Hai)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1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학생들은 높은 학업성취도에 비해 낮은 학업 관련 정서적 성취도를 보이는데, 라캉의 이론에 의하면 이 괴리현상은 학생들이 ‘학업욕동’이 아닌 ‘학업욕망’에 의거하여 학습활동을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욕동에 의거한 학습활동을 하게 하는 일이 필요하다. 학생들의 학업욕동을 일깨우기 위해서 교사는 분석상담에서 분석가가 하듯이 학생에게 있어서 ‘잘 아는 존재’로 수용되어야 하며, 교육내용을 학생에게 장황하게 설명하려 해서는 안 되고, 학생의 질문에 완벽한 대답을 해서도 안 된다. 더 나아가 교사는 언어적 사고력으로 파악할 수 없는 대상a와 같은 존재가 되어야 한다. 교사는 학생의 내면에 억압되어 숨겨져있지만 학생이 진정으로 이루어 보기를 소원하는 것을 밖으로 표출할 수 있게 하는 존재이자, 학생에게 지적 호기심에 끌려서 하는 탐구활동, 어떤 대상에 대해 알고 싶어서 하는 연구활동을 하도록 장려하고 격려하는 존재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영문 초록

Korea students have been studying with not learning drive but learning desire. And it results in a discrepancy between the highest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lower affective performance witch academic concerned.. The lower affective performance. which dues to without the learning drive makes students to be unhappy and causes to decrease Korea national competitive power. So, Korea education needs a strategy to encourage the student’s learning drive. In according to Lacan, a psychoanalyst should be regarded as ‘the subject supposed to know’ to a psychoanalysis-performer(client) And the psychoanalyst have to play a role of a Dummy or a mirror, and uses the analysis technique such as ‘the punctuation’, ‘scansion’ and ‘the Delphi interpretation.’ In the same term of the psychoanalyst, teacher should be regarded as ‘the subject supposed to know’ to student. And teacher never clearly, specifically explain students textbooks. And then, teacher should be regarded as ‘object a’ to student If teacher do not like that, the student would miss out a opportunity to introspect his unconsciousness, and never get the learning drive for the high affective performance witch academic concerne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정신분석상담에 있어서 분석가의 역할
Ⅲ. 정신분석이론의 교육적 적용과 교사의 역할
Ⅳ. 맺음 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목영해(Mok, Young-Hai). (2017).라캉의 욕동이론에 의거한 교사의 역할 연구. 교육사상연구, 31 (2), 1-27

MLA

목영해(Mok, Young-Hai). "라캉의 욕동이론에 의거한 교사의 역할 연구." 교육사상연구, 31.2(2017):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