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면연기와 표면연기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연구

이용수 351

영문명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Exploring the time-dependent effects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채연주(Yeon Joo Chae) 양경욱(Kyunguk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17 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306~328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5.13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정노동전략인 표면연기와 내면연기가 작업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시간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라 보고 감정노동전략의 단기효과(short-term effects)와 장기효과(long-term effects)를 비교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내면연기와 표면연기는 감정을 활용하는 노동이기 때문에 감정소진을 불러일으키는데, 운동선수가 근육활용으로 인해 느끼는 근육의 피로도가 단기적 현상인 것과 마찬가지로 감정소진 역시 일시적으로 나타날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정노동 전략이 감정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만 나타날 것이라고 보았다. 한편 혹실드가 감정노동이라는 개념을 제기하면서 강조했던 소외문제는 감정노동을 행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경험되기도 하지만 개인이 자신의 경험을 재인하고 반추하면서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외를 대변하는 자아 비진정성(self-inauthenticity)에 대해 내면연기와 표면연기가 장ㆍ단기적으로 모두 효과를 보일 것으로 보았다. 판매직 종사자 201명으로부터 한 달의 시차를 두고 반복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단기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모형을, 장기효과의 검증을 위해서는 시차효과모형 및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감정소진은 단기적인 현상이었고 표면 및 내면연기 모두 감정소진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자아비진정성은 단기적으로는 표면연기에 의해, 장기적으로는 내면연기에 의해 촉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감정노동연구에서 시간차를 비교한 연구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차에 따라 감정노동전략이 서로 다른 종속변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논의가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갖는다. 특히 시간차를 적극적으로 고려한 본 연구는 감정노동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시도로 평가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o explore the time-dependent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on employee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short-term with long-term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Emotional exhaustion, the state of depletion of emotional resources, would be a short-term phenomenon like a muscle in fatigue after exertion. Thu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surface and deep acting on emotional exhaustion will be shown only in short-term. Meanwhile, considering the issue of alienation which Hocshchild (1983) emphasized in her seminar work, employees may experience the alienation not only in the process of immediate interactions with customers, but also in their reflections upon their past experiences on the long-term basis. Thus, this study expected that the significant effects of deep and surface acting on the self-inauthenticity which seems to represent the concept of alienation will be shown in the short-term as well as long-term. We tested our hypotheses in a two-wave longitudinal panel study using a sample of 201 service representatives in retail stores. While short-term effects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lagged-effects were analyzed using Lagged Effect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exhaustion was related with surface and deep acting positively in the short term. Inauthenticity was related positively with surface acting in the short term and deep acting in the long term respectively.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in that we suggested the model that surface and deep acting show differential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time-frame.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he time-frame when approaching to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토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채연주(Yeon Joo Chae),양경욱(Kyunguk Yang). (2017).내면연기와 표면연기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 (1), 306-328

MLA

채연주(Yeon Joo Chae),양경욱(Kyunguk Yang). "내면연기와 표면연기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1(2017): 306-3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