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절사(節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74

영문명
A Study of Holiday Ancestral Memorial R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최배영(Choi Bae young)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35집, 1~40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우리의 오랜 생활문화로 지속되고 있는 절사(節祀)가 의례와 세시가 접목되는 점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예서(禮書)를 통해 절사의 개념을 파악한 후 실제 민간에서 이행되었던 참례, 묘제, 속절 절사의 문화적 특징을 세시기(歲時記)를 토대로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6-18세기의 예서 8권과 18-19세기의 세시기 7권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월 초하루이자 한 해를 시작하는 날인 정조와 한해를 마무리하는 동지 그리고 8월의 보름인 추석은 조상을 뵙는 참례(參禮)의 절사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컸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차례(茶禮)’라는 용어의 연원으로 정지삭망(正至朔望) ‘참례(參禮)’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었다. 즉 정지삭망의 명절이나 절기가 되면 후손들이 가장 먼저 사당의 조상들을 뵙고 하루를 시작하고자 했던 것에 참례 본래의 의의가 있었고 이 같이 친근하고 애틋한 참례의 취지는 간직되어 지리적 자연적 제약으로 차를 대신해 가양(家釀)한 술이나 시식을 올렸지만 차례라는 이명(異名)으로 조선후기에도 지속이 되었던 것이다. 둘째, 묘제(墓祭)를 이행하는 절사는 사명절인 정조, 한식, 단오, 추석과 궁중의 오절향(五節享)의 풍습이 일부 반영된 동지가 해당되었다. 묘제는 시묘(侍墓)를 이행하는 우리나라만의 고유 풍속과도 연관되는 조상의 사후에까지 이어지는 효(孝)의 실천이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학자들은 가묘에서의 참례 혹은 속절과 묘소에서의 묘제가 같은 날 이루어짐으로써 유발되는 과례(過禮)내지는 분한을 넘는 지나친 성효(誠孝)에 대해서는 많은 우려를 나타냈다. 이는 정조와 단오처럼 너무 춥거나 더워 제수가 얼거나 부패하여 본래의 정결함을 잃게 되거나 먼 거리의 묘소를 오가며 후손들의 건강이 상하게 되는 것을 오히려 불효로 여겼던 『증보산림경제』의 기록이 입증해준다. 이에 묘제의 당위성은 인정하면서도 상황과 깜냥에 맞는 의례 실천의 융통성을 발휘했던 학자들의 견해를 엿볼 수 있었다. 셋째, 속절(俗節)의 절사에 있어 시식(時食)은 돌아가신 분이지만 조상을 우선 생각하는 후손들의 정(情)이었으며, 형편에 맞는 간소함을 지키는 정성이었다. 도랑에 핀 물풀도 조상에게 올릴 수 있는 법이니 중요한 것은 정성에 있지 사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윤행임(1762-1801)의 견해가 이를 잘 뒷받침해준다. 또한 절사에 마련하는 시식은 조상으로부터 후손에게로 더 나아가 이웃과 손님에게로 전해지는 건강에 대한 기원이었다. 세시기를 보면 시식은 조상에게 올린 후에 손님 대접에도 사용되며, 이웃에게도 나눠주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즉 시절(時節)에 건강을 도모하는 좋은 약재이면서 음식 재료로 만들었기 때문에 절사에 참여하는 가족은 물론 이웃, 손님의 건강도 위하는 가치를 지녔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조선시대 민간에서 이행되었던 절사는 조상과 후손이 만나는 간소하지만 친근한 의례문화였으며 정성이 담긴 시식을 통해 효와 정이 오고가는 세시문화였다. 이와 같은 절사의 의미는 앞으로 의례와 세시 관련 학술 연구와 문화콘텐츠 개발의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우리 생활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정신적 가치의 중요성을 일깨 우는 교육적 측면에 있어서도 활용의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oliday ancestral memorial rites held by the public during the Joseon Dynasty. Methods will include a literature review that focuses on the fact that holiday ancestral memorial rites, which have continued as a part of Korean living culture, are a combination of a ritual and a seasonal event. For this purpose, eight ritual books written from the 16th to 18th century and seven books of seasonal events written from the 18th to 19th century were review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unar New Year’s Day, which is the first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of a year and the beginning of a new year; Dongji (winter solstice), which is the day of closing a year; and Chuseok, which is the 15th lunar day of August, were of great importance as rites linking people to their ancestors. Through this, this study was able to affirm the meaning of Chamrye (參禮) as an origin of Charye (茶禮: memorial rite for ancestors). It was a ritual of affection where people visited their ancestors at a shrine and offered them tea early in the morning of holidays. Second, Myoje (墓祭: memorial rite held in front of the grave) was a unique custom, which was a practice of filial piety continued even after the death of one’s ancestors. However,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ctually regarded it unfilial that sacrificial food loses its original sanctity after being frozen or going bad due to cold or hot weather on holidays, such as Lunar New Year’s Day or Dano, or that descendants suffer poor health caused by their long trip to grave sites. This shows that Joseon scholar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Myoje, yet demonstrated their flexibility in ritual practices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ird, Sishik (時食: special seasonal food prepared for holiday memorial rites) of Sokjjeol (俗節: ancestor-memorial days) was an expression of affection towards one’s ancestors. People tried to exhibit sincerity through seasonal food which is special, yet simple, and prepared within their budget. In addition, Sishik, food cooked with good medicinal and nutritional ingredients, was the representation of a wish for the good health of not only one’s ancestors, but also descendants, neighbors, and visitors. In conclusion, holiday ancestral memorial rites held by the public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a friendly and simple ritual culture linking descendants to their ancestors, and at the same time, seasonal event culture where filial piety and affection were expressed through special seasonal food filled with sincerity. This finding regarding the meaning of holiday ancestral memorial rites can be used for future academic research on rituals and seasonal events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It also can be utilized in education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psychological value inherent in Korean living culture.

목차

Ⅰ. 서 론
Ⅱ. 예서(禮書)를 통해본 절사의 개념 및 분류
Ⅲ. 세시기(歲時記)에 나타난 절사의 문화적 양상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배영(Choi Bae young). (2017).조선시대 절사(節祀)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학, 35 , 1-40

MLA

최배영(Choi Bae young). "조선시대 절사(節祀)에 관한 연구." 차문화산업학, 35.(2017): 1-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