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의 재평가

이용수 288

영문명
Re-evaluating the Korean Electronic Transactions Act - On the occas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 -
발행기관
한국정보법학회
저자명
김기창(Kim, Keechang)
간행물 정보
『정보법학』제20권 제2호, 69~10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모델법이 채택되던 90년대 중반에는 전자적 수단으로 체결된 계약이 과연 ‘유효’한지부터가 논란 거리였으므로 이러한 논란을 입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필요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전자적 방법으로 체결되는 계약 등도 유효할 수 있다는 점은 더 이상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어떤 행위가 ‘문서’로 행해져야 하도록 법령에 정해져 있을 경우, 그러한 문서 요건을 전자적 정보로도 충족할 수 있는지는 당사자 간에 첨예한 이해 대립이 있을 수 있고, 전자적 정보가 언제나 전통적 ‘문서’가 가지는 모든 기능을 구비하는 것도 아니므로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 우리 기본법은 전자적 ‘정보’를 전자 ‘문서’라고 지칭해버릴뿐 아니라, 전자적 정보의 “법적 효력”에 관한 외국의 규정들이 마치 “문서로서의 효력”에 관한 것인양 오해한 규정을 두고 있어서, 과연 어떤 경우에 전자적 정보가 “문서로서의 효력”을 인정받을 수 있을지가 제대로 규율되지 않고 있다. 이 점은 개선되어야 한다. 전자적 정보의 송신 시점에 관하여 기본법은 교신 기술과 모델법 규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 수신 시점과 송신 시점을 동일시하는 잘못을 범하고, 수신 확인 요청에 관한 규정은 모델법을 ‘발췌 번역’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내용을 누락한 나머지, 전자적 교신의 수신자에게 불측의 손해를 가할 여지가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러한 오류는 시급히 교정 되어야 한다. 전자 서명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들은 다양한 서명 방법을 최대한 포용함으로써 서명 요건이 전자 거래의 걸림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한국은 정반대로 오로지 “공인전자서명”만이 법령상의 서명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정부가 지정한 “공인”업체가 발급한 “공인”인증서가 있어야만 “공인”전자서명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제도적으로 대단히 제한적, 배타적, 폐쇄적으로 전자 서명 제도를 운영하고있다. 이처럼 정부가 일부 업체를 “공인”업체로 지정하고 이들에게 법령상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업체의 영업이나 홍보에 정부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둔 “공인”사업 모델은 인증 서비스 뿐 아니라, 전자문서의 저장, 유통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산재되어 있다. 정부의 이러한 개입은 기본법이 스스로 천명하는 “민간 주도 원칙”에도 어긋나고, 소수의 “공인”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여 과점적 특혜를 누리는 상황을 조장하며, 한국 정부의 지정을 받은 “공인”업체들이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기술 규격을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은 국제협력을 저해하는 측면도 있다.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이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모델법이 생겨난지 20년이 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이제는 좀 더 성숙한 안목을 가지고 정책의 기본 원칙에 충실한 방향으로 근본적인 반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When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 was adopted in the mid 1990s, it was a point of contention whether contracts concluded through electronic means are ‘valid’. It was therefore necessary to remove such a doubt by legislative means. Now, there is no doubt that contracts can validly be concluded through electronic means. On the other hand, where a statute requires a contract or a notice to be in writing, whether electronic communications can satisfy such a ‘writing’ requirement is a highly contentious issue requiring cautious approaches because electronic communications do not necessarily have similar functions as paper and because the parties’ interests are sharply vetted against each other. The Electronic Documents and Electronic Commerce Act (EDECA) of Korea confusingly refers to the information in electronic form as “electronic document”. The EDECA thus stipulates that an “electronic document” shall not be denied the “validity as a document” soley because it is in electronic form. This provision is due to a confusion between the ‘validity’ of contracts concluded through electronic means and the ‘validity as a document’. A ‘valid’ contract does not mean that it has the ‘validity as a document’. Regarding the time of dispatch, the EDECA has an erroneous provision which stipulates that the message shall be deemed to be dispatched when it enters the information system accessible by the recipient. The EDECA also made a mistake when it excerpted the Model Law provision regarding the acknowledgement of receipt. These errors need to be rectified. Regarding the electronic signature, Model Law or the UN Convention on the Use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in International Contracts take the position where a widest possible range of signing methods are recognized as ‘valid’ and these methods are treated as satisfying the signature requirement under the law. The South Korean law takes the oppisite position. Only the “government endorsed digital signature” under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of Korea shall be treated as satisfying the signature requirement under the law. In order to produce “government endorsed digital signature”, one must have a “government endorsed” digital certificate issued by a “government endorsed” certificate service provider. The signature requirement under the Korean law can therefore be met only through a very restrictive, exclusive and closed regime of electronic signature. The “government endorsed” regime of services is stipulated in EDECA in respect of services for retention and exchange of electronic records, as well as the “government endorsed” electronic address. Such heavy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s inimical to the “principle of private initiative” the EDECA professes as its policy principle. On the 20th anniversary of the Model Law on Electronic Commerce, it is perhaps time to re-evaluate the EDECA from a more mature perspective in light of its basic policy principles.

목차

Ⅰ. “전자문서”
Ⅱ. 기본법의 적용 범위
Ⅲ. “문서로서의 효력”
Ⅳ. 송신, 수신
1. 송신 시점
2. 수신 시점
3. 수신 확인
Ⅴ. 전자 서명
Ⅵ. 전자거래 및 전자문서 관련 사업자에 대한 “인증” 또는 “공인” 제도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기창(Kim, Keechang). (2016).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의 재평가. 정보법학, 20 (2), 69-109

MLA

김기창(Kim, Keechang).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의 재평가." 정보법학, 20.2(2016): 69-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