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멧돼지과(Suidae) 화석의 분석 연구

이용수 103

영문명
A study on the Suidae fossil from the Paleolithic sit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조태섭(Tae-sop Cho)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27호, 75~null쪽, 전체 -7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에 살았던 멧돼지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먼저 멧돼지과 (Suidae)의 생태적인 성격 그리고 뼈대구조의 특징 등을 알아보았다. 이어 이 짐승의 제4기동안의 진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았으며 특히 멧돼지와 사람이 사육한 돼지의 차이점을 고찰하여보았다. 초식짐승 이면서도 독특한 성격을 지닌 멧돼지는 강한 생활력에 힘입어 구석기시대를 거쳐 현세에도 살았던 짐승 이며 사람들이 길들여 사육하였던 집돼지로의 변화를 갖는 짐승이다. 동물의 가축화연구에 돼지가 갖는 중요성이 바로 이 점에 있으며 현재 여러 각도에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여 곳의 구석기시대 동굴유적에서 멧돼지 화석이 찾아졌으며 이 짐승의 제4기 갱신세시기에서의 변화는 비교적 간단하게 진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중기 갱신세시기에는 리데커 멧돼지(Sus lydekkeri)가 찾아지는데 유적의 수는 많지 않은 편이다. 이 종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매우 컸던 개체로 알려지고 있다. 이후 후기 갱신세에는 대부분의 유적에서 멧돼지(Sus scrofa)가 존재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중부, 북부지방에서 골고루 출토되고 있으며 리데커 멧돼지보다는 적은 크기이다. 한편 출토된 뼈대 부위별로는 대부분이 이빨을 포함한 머리부위의 뼈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많은 경우 깨어진 채 찾아지고 있다. 분석된 유적마다 이빨(특히 둘째 어금니와 셋째 어금니)과 앞축뼈 등온전한 잰값을 가진 자료들을 모아 정리하여 보았다. 이러한 멧돼지 뼈들의 잰값 등은 다른 선사시대의 돼지 뼈와의 비교를 위해 기초자료로 쓰여질 수 있을 것이다. 현세시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길들여 사육한 돼지(Sus scrofa domesticus)들을 야생의 멧돼지와 비교하고 구분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구석기시대를 비롯하여 신석기, 청동 기, 철기 시대의 유적들에서 빈번히 출토되는 돼지의 뼈를 자세히 비교해보면 차이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동물을 사육하는 가축화에 관계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ze Suidae fossils, which have been discovered during the Paleolithic in Korea. First of all, I summari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is animal and the general features of its skeleton. Then, I overview briefly its evolution during the Quaternary and I demonstrate the bone structure difference from the domestic species, Sus scrofa domesticus. The Suidae is an herbivore animal but it has a very special dental morphology. Its dentition is bunodont like the omnivore. It may explain its survival through the Quaternary. Furthermore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prehistoric people because prehistoric people succeeded to domesticate the wild boar during the Holocene. More than 20 Paleolithic sites yielded Suidae fossil in Korea. It seems that the evolution of this animal occurred relatively simple: Lydekkeri species(Sus lydekkeri) appeared during the middle Pleistocene but with small quantity. This animal had a rather big size.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Sus species(Sus scrofa) is dominant. It lived almost everywhere i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in the central and northern part. The body size of Sus scrofa was smaller than that of Sus lydekkeri. Most of the fossils are the cranial part, including teeth. The large number of them were broken. Among them, I inventoried the dimension of entire M2 and M3 and entire calcaneum. This data w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reference for the comparison with measurement of the Neolithic, the Bronze Age and the Iron Age samples. It is certain that the distinction of the wild boar and the domestic pig seems difficult but the comparative researches through periods, from the Paleolithic to the Iron Age, would allow to find their difference. Furthermore, these data would bring light to multiple problems concerning animal domestication in Korea.

목차

I. 머리말
II. 멧돼지과의 특징과 비교
III.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멧돼지의 성격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태섭(Tae-sop Cho). (2013).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멧돼지과(Suidae) 화석의 분석 연구. 한국구석기학보, (27), 75-null

MLA

조태섭(Tae-sop Cho).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멧돼지과(Suidae) 화석의 분석 연구." 한국구석기학보, .27(2013): 75-null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