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 문서의 견유학파의 가설 비판을 통한 예수 비유의 스토아적 재해석

이용수 208

영문명
Stoic Reinterpretation of Jesus’ Parables in Q by Criticizing Cynic Hypothesis of Q
발행기관
한국Q학회
저자명
김덕기(Duk Ki Kim)
간행물 정보
『예수말씀연구』예수말씀연구 제8집,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Q에 속하는 ‘겨자씨 비유’(Q 13:18-19=마 13:31-32)를 모델로, Q에 속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씨뿌리는 자의 비유”(마 13:1-9, 11=눅 8:5-8, 10=막 4:3-8, 11)와 “악한 농부의 비유”(마 21:33-46=눅 20:9-19=12:1-12)에 나타난 자연 성장의 모티브가 그레코-로만 시대의 덕 형성 윤리에 기초한 정치철학적/신학적 사상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탐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우리는 Q의 초기 편집된 자료들(Q1)이 견유학파의 사상에 근거해 있다는 버튼 맥(B. Mack)의 가설을 철저히 비판하게 될 것이다. 이런 연후에 결국, 스토아의 도덕 철학에 비추어서 위의 세 비유에 나타난 자연성장의 모티브와 연관된 하나님 나라의 정치신학적 의미를 도출하려 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선 Q의 하나님 나라 사상에 대한 맥(B. L. Mack)의 견유학파적 예수 이해를 평가하고, 현대적 의미의 도덕철학과 이와 연관되는 정치신학적 통찰을 새롭게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맥은 견유학파의 반국가적/反결혼인습적, 반소유의 무정부주의적 저항정신에 비추어서 Q의 사회적 구성과 헬라적 유대교 지혜문학과의 상호관계를 새롭게 재구성하고자 한다. 반면 이 논문은 Q의 새로운 방식의 反문화적 신학이 헬라적 스토아 철학의 상상력과 헬라적 유대의 현자의 사변적 지혜 사상을 융합시킨 창의적 사유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예수 말씀 전승의 반문화적 급진적인 신학적 사유는, 새로운 로마제국의 그레코-로만 문화적 환경이 형성되었을 때에는 예수의 자연의 성장에 대한 보다 더 ‘저항적인’ 반문화적인 윤리학적 사유를 창의적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완전히 새로운 형식의 에클레시아의 공동체 실험을 실행하게 된다. 우리는, 이전의 Q 학자들과 달리, 덕 훈련 관련 예수 전승을 마태가 스토아 철학을 통하여 재해석하였다는 가설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이전에 Q에 속하지 않았다고 하는 ‘씨 뿌리는 자의 비유’와 ‘악한 농부의 비유’가 내포된 스토아적 Q+(Q+kim)의 존재를 가정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가설은 마태복음이 사용한 Q+의 존재를 가설로 제시한 맥도날드(D. R. MacDonald)의 책, Two Shipwrected Gospels (2012)뿐 아니라, 스토워스(S. Stowers)의 최근 글, “Jesus the Teacher and Stoic Ethics in the Gospel of Matthew”(2010)에 기초한다. 이 논문은 스토워스가 스토아 철학에 비추어 마태복음을 재해석한 것을 스토아의 세 가지 윤리적 특성(인간의 보편적인 신적 속성, 완벽함의 추구, 윤리의 내적 동기의 중요성)과 매우 유사한 마태의 편집적인 경향(완벽함, 율법의 과격한 재해석, 의[δικαιοσ νη]의 강조, 자연의 성장 모티브와 연관된 절제 강조 등등)을 개괄적으로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재해석에 기초하여 우리는 예수의 두 가지 다른 성장 비유들(씨뿌리는 자의 비유와 겨자씨의 비유)과 마태복음 판본의 악한 포도원 농군의 비유에서 스토아적 요소에 기초한 편집 경향을 탐구하고, 이 비유 자체를 스토아적 도덕 철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이 말씀 전승을 편집한 저자들이 도덕적 성장의 윤리적 주제와 관련된 정치적 비전을 이전의 유대적 율법과 로마제국의 폭력적 지배 이데올로기와 어떻게 차별화 하였는지, 그리고 그렇게 했다면, 어떤 문화적 맥락과 로마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려 했는지 탐구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마태복음 21장 33-46절에 깃들여 있는 로마의 제국주의적 팽창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방식의 참신성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바로 스토아 철학에 비추어서 새롭게 재해석된 이 비유들은 로마제국과의 폭력적 지배의 모순과 유대교와 Q의 율법주의의 모순을 극복하는 현자의 공동체의 공동선과 개인의 자유를 조화시키는 순교적 제자직의 정신을 나타낸다. 결국 우리는 마태복음의 ‘악한 포도원 농부의 비유’뿐 아니라 씨 뿌리는 자의 비유에 나타난 자연을 닮은 도덕적 덕의 고차원적인 성장을 촉구하는 자기-절제의 지혜 말씀(마 13:8), 도덕적 변형(마 13:32), 순교적 저항(마 21:43)의 도덕적 자기-형성 훈련은 로마 제국의 폭력적 핍박을 통한 평화의 통치이데올로기와 기독교 내부에서 형성된 가부장적 원시기독교의 주류문화를 동시에 비판하는 대안적 정치신학과 윤리의식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결론 부분에서 이 논문은 마태복음의 세 비유들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의 새로운 시대 도래에 보다 적합한 스토아 철학의 윤리적 에토스가 어떻게 기독교인의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면서 로마제국에 저항하는 창의적인 윤리와 이에 기초한 정치신학적 사유 방식을 구성하게 되었는지 간략하게 고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tructively criticizesMack’s creative thesis that Kingdom of God in Q imitates Cynic ethics of anti-social critique rather than apocalyptic view of prophetic judgment, whileappreciatingcreative imagination of Mack’s Cynic interpretations of Q 1, In order to advance this criticism, this paper displays Stowers’s recent reinterpretation of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Stoic sage manifestedin the selected Jesus’ parables, which is rendered as a creative upgrading of Mack’s thesis. In reinterpretingJesus’ parables of the moral growth in light of Stower’sStoic reinterpretation of Matthew’s portrayal of Jesus as sage, this article also reviews how the motifs of moral formation, self-control, and martyrdom reflected in Jesus parables are best fit in thethree elements of Stowers’ Stoic ethics such as universal ethic for individuals based upon divine law of nature, idea of perfection of moral formation, and inner intention of ethical motivation over against Roman and Jewish resultmotivativatedmoral action. In reinterpreting the selected parables of Matthew and its paralleled other passages in light of Stowers’ recent appropriation of Matthew’s morality based upon the Greco-Roman Stoicism, this paper will especially remark how moral formation based uponmotif of growth of nature in the selected texts of parables raises the issue of perfection for performing more radical view of social ethics of Kingdom of God in light of political theological agenda of projecting new social vision of alternative social ethics of justice, which implicitly overcomes the political limits of Roman imperialistic ethics of self-mastery and legalistic Jewish view of ethics. Then the article argues that the exegetical discussion about Jesus’ view of moral perfection in the selected three Jesus’ parables and its paralleled texts can be better explained in light of Stoic conceptual world than in light of Cynicism. In conclusion, this article briefly examines Q, Matthew, Mark’s ethico-political standpoint embedded in the symbolized language of Kingdom of God in the selected parables by inquiring how this Stoic sense of Christian morality take efficiently a social-political opposition against Roman persecution and Jewish legalistic mode of moral formationallied withRoman imperialism.

목차

한글초록
Ⅰ. Introduction to Research Questions for New Understanding Kingdom of God in Q in light of Greco-Roman Stoicism
Ⅱ. Criticism on Burton L. Mack’sNon-ApocalyticCynic Kingdomof God as Wisdom
Ⅲ. Reinterpretation of the Conceptual World of Matthew’s Q[Q+Kim] in light of Stoic Philosophy as Wisdom of Sage
Ⅳ. Rationales of the Two Parables’ Belonging to Q : How do the Two Parables relate to Stoicism?
Ⅴ. Conclusion: Political/Social implication of Stoic Reinterpretation of Jesus’ Parablesin Q+Kim in light of Greco-Roman Moral Political Philosophy
Abstract
Reference Books and Articl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덕기(Duk Ki Kim). (2016).Q 문서의 견유학파의 가설 비판을 통한 예수 비유의 스토아적 재해석. 예수말씀연구, 8 , 1-26

MLA

김덕기(Duk Ki Kim). "Q 문서의 견유학파의 가설 비판을 통한 예수 비유의 스토아적 재해석." 예수말씀연구, 8.(2016):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