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29년 조선박람회에서 기생의 춤 공연에 대한 연구

이용수 321

영문명
A Study on the Dance Performance of Gisaengs at the Joseon Exhibition of 1929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영희(Kim Young Hee)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3집, 35~5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29년의 조선박람회에서 연예관 여흥을 위해 경성의 4권번 기생들이 50일간 교대로 조선춤과 서양춤(dance)을 추었다. 조선권번은 조선춤 16종과 서양춤 15종을, 한성권번은 조선춤 11종과 서양춤 11종을, 한남권번은 조선춤 7종과 서양춤 17종을, 경성권번은 조선춤 9종과 서양춤 7종을 공연했다. 이들이 춘 조선춤 중에 궁중무는 연화대무, 무고, 장생보연무, 고구려무, 포구락, 보상무, 무애무, 봉래의, 향령, 춘광호, 검기무, 육화대, 수연장, 박접무, 사선무, 경풍의 16종을 추었다. 1920년대 후반에 권번에서 궁중무가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민속춤은 승무, 검무, 팔검무, 남무가 추어졌다. 조선박람회기념무, 조선박람회축하무, 조선산업무는 조선박람회를 기념하기 위한 창작춤이었고, 사고무(四鼓舞), 정방별곡(正方別曲), 국화회(菊花會), 춘향무(春香舞)는 1910년대에 창작되어 박람회에서도 추어진 춤이다. 이 춤들은 궁중무나 민속춤의 기법으로 추어졌다. 기생들은 서양춤 45종도 추었다. 유럽의 민속춤(Fork Dance), 사교춤(Social dance)을 추었고, 춤곡에 맞추거나, 타악기를 들고 추는 춤, 오리엔탈리즘으로 추었던 춤, 조선박람회를 기념하는 조박기념무(朝博記念舞)도 추었다. 당시 조선에 수입된 서양춤의 경향들을 거의 갖추었다. 이러한 양상에 대해 일제강점기 근대무용사의 측면에서 몇 가지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첫째, 1920년대 후반에도 이전 시대에 추었던 궁중무와 민속춤이 권번에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1915년의 공진회에서 추었던 주요 종목들이 이번에도 추어졌고, 이 춤들은 당시 대중들에게 가장 관심을 받았던 전통춤들이었을 것이다. 둘째, 조선박람회 공연에서 기생들이 서양춤을 추었으며, 조선춤보다 많은 종목을 추었다. 서양춤들은 1900년대부터 꾸준히 수입되었고, 1917년 기생이 무대에서 처음으로 서양춤을 추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1920년대 후반 기생들은 다양한 서양춤들을 레퍼토리로 확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기생들의 종목에서 조선춤보다 서양춤들이 많은데, 이는 박람회의 흥행을 위한 일환이었으며, 조선의 근대적 면모를 선전하고자 했던 조선총독부의 박람회 개최 목표에 맞춘 것이었다.

영문 초록

At the Joseon Exhibition of 1929, the Gisaengs of four offices call kyunbeon(券番) in Gyeongseong(京城) performed Korean dance and Western dance by turns for 50 days for the entertainment of Yeonyegwan(演藝 舘). The Joseon-kyunbeon performed 16 types of Korean dance and 15 types of Western dance, Hanseong-kyunbeon performed 11 types of Korean dance and 11 types of Western dance, Hannam-kyunbeon performed 7 types of Korean dance and 17 types of Western dance, and Gyeongseong-kyunbeon performed 9 types of Korean dance and 7 types of Western dance, respectively. Korean dance they performance, the court dance consisted of 16 types including Yeonhwadaemu(蓮花臺 舞), Mugo(舞鼓), Muaemu(舞碍舞), Jangseangboyeonmu(長生寶宴舞), Goguryeomu(高句麗舞), Pogurak(抛 毬樂), Bosangmu(寶相舞), Bongraeui(鳳來儀), Hyangryeong(響鈴), Chugwangho(春光好), Geomgimu(劍器 舞), Yukhwadae(六花臺), Suyeonjang(壽延長), Bakjeopmu(撲蝶舞), Saseonmu(四仙舞), and Gyeongpung(慶 豊). Those findings confirm that the court dance was passed down at the kyunbeon-office in the second half of the 1920s. The types of folk dance they performed were Seungmu(僧舞), Geommu(劍舞), Palgeommu(八劍 舞), and Nammu(男舞). They also performed creative dances to commemorate the Joseon Exhibition including Joseon Exhibition Ginyeommu(朝鮮博覽會記念舞), Joseon Exhibition Chukhamu(朝鮮博覽會祝賀舞), and Joseon Saneopmu(朝 鮮産業舞). They also performed Sagomu(四鼓舞), Jeongbangbyeolgok(正方別曲), Gukhwahoi(菊花會), and Chunhyangmu(春香舞), which they created in the 1910s, at the exhibition in the techniques of court or folk dance. The Gisaengs performed 45 types of Western dance, as well, including European folk and social dance, song-based dance, dance with a percussion instrument, Orientalism-based dance, and Jobakginyeommu to commemorate the Joseon Exhibition, following almost all of Western dance trends introduced in Joseon those days. Those patterns hold some meanings in the history of modern dance during the Japanese rule: First, Gisaengs continued the court and folk dance at the call offic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20s. At the Joseon Exhibition, they performed the major types of dance they did at the “Competitive Exhibition of Local Products for the Anniversary of New Politics” in 1915, and those dances must have been the Korean dances that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from the public those days. Secondly, the Gisaengs performed more types of Western dance than Korean dance at the Joseon Exhibiti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dance started in the 1900s and continued since. It was in 1917 that a Gisaeng performed a Western dance on the stage for the first time. Riding the trend, the Gisaengs must have included various types of Western dance in their repertoire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20s. Finally, the Gisaengs performed more types of Western dance than Korean dance to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Joseon Exhibition and the goals of the exhibition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at tried to promote the modern aspects of Jose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조선박람회와 연예관
Ⅲ. 조선박람회에서 기생의 춤
Ⅳ. 결론-근대무용사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희(Kim Young Hee). (2016).1929년 조선박람회에서 기생의 춤 공연에 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33 , 35-53

MLA

김영희(Kim Young Hee). "1929년 조선박람회에서 기생의 춤 공연에 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33.(2016): 3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