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악해금곡에서 나타나는 잉어질과 다른 악기 특수주법과의 관계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the Traditional Playing Technique for Haekum - Focused on the musical sign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류정연(Yoo Chung yeo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0집, 129~171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악해금곡에서 잉어질이 나타나는 악곡은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취타계주, 천년만세, 웃도드리, 가곡, 경풍년으로 그 선율형은 운지법상으로 4지→ 2지(潢-林, 林-太), 혹은 4지→ 3지(汰-南, 南-仲, 潢-南)로 진행하는 하행선율형이다.仲1지 운지법에서 유현 4지→ 2지로 진행하는 潢-林의 선율형이 가장 많이 출현한다. 잉어질 선율형의 두 음은 고정적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며 영산회상계통 악곡에서는 출현위치도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잉어질과 동일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피리, 가야금, 거문고 특수주법의 선율형은 그 선율형의 첫음은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하나선율형의 뒷음은 잉어질과 동일하다. 잉어질의 출현위치에 다른 악기의 특수주법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그 선율형은 동일한 유형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선율형의 뒷음은 거의 동일하다. 잉어질과 다른 악기 특수주법의 선율형에서 서로 관련있는 음은 선율형의 두 번째 음임을 알 수 있다. 가곡의 잉어질은 우조가곡은 피리의 서침표와 연관성이 있고, 계면조가곡은 현악기의 뜰동과 연관성이 나타난다. 잉어질은 이왕직아악부 시대의 악보에서부터 현재 출간되어 사용되고 있는 악보들 간에 특징적인 차이점 없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영문 초록

I studied in this thesis how Ing-eojil(잉어질, one of the typical playing technique for heakum) appear in Jeongak(正樂) and how they are associated with the technique of other instruments. Ing-eujil is seen in musics such as Hyonak youngsan hoesang, Pyoungjo hoesang, Gwanak youngsan hoesang, Chuitageju, Chonnyon mansei(千年萬歲), Utdoderi(細還入) and Gakok(歌曲). The melodies are downward tunes with the fingering going down like 4 → 2(Hwang-Lim(潢-林), Lim-Tae(林-太) or 4 →3(Tea-Nam(汰-南), Nam-Joong(南-仲), Hwang-Nam(潢-南). In fingering of Joong 1, melodious types of Hwang-Lim that goes fromyoohyun 4 → 2 appears most frequently. Two sounds of Ing-eojil tune are fixed and are likely to appear at regular places in Yongsan hoesang musics. When the special technical melodies of piri(觱篥), kayagum(伽倻琴) and geomungo(玄琴) appear at the same place of Ing-eojil, the first tones may be different, but the next tones are almost the same. When the special techniques of other instruments aren t found where Ing-eojil appears, the melodies are likely to be the same, especially with the next tone. We can find the second sound associated with both Ing-eojiland the special technical melodies of other instruments. With Ing-eojil of Gakok, Uhjogakok is associated with suhchimpyo of piry and Gemyonjo gakok(界面調歌曲) is associated with ddeuldong(뜰동) of stringed instru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잉어질의 출현 양상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정연(Yoo Chung yeon). (2009).정악해금곡에서 나타나는 잉어질과 다른 악기 특수주법과의 관계. 국악원논문집, 20 , 129-171

MLA

류정연(Yoo Chung yeon). "정악해금곡에서 나타나는 잉어질과 다른 악기 특수주법과의 관계." 국악원논문집, 20.(2009): 129-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