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수준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1

영문명
Reorganization and Level of Competence Element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Trainee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용익(Kim, Yong-ik)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7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인성 역량 요소를 구조화하고, 역량 수준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로 조사연구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결론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안한 창의·인성 역량 요소의 범주화를 좀 더 정교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다. 제시한 영역과 하위 요소들이 누락되거나 중복되지는 않았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예비교 사들의 창의성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인성 역량에 비하여 창의성 역량이 상대 적으로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교사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에 적극 반영함은 물론 강의실에서 실제적인 창의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유창력, 독창력 요소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셋째, 인성 역량 부분에서는 예비교사의 자기 표현, 도덕적 실천 수준이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 때, 자기 표현, 도덕적 실천 요소를 적극적으로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교육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실과 심화과정 예비교사들에게 체계적인 창의·인성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을 재설계하고, 현재 실과수업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교수 방법도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에 창의·인성 교육이 얼마나 체계적으로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강좌별로 창의·인성 요소가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 해본다면, 그 실태를 파악할 수 있고, 추후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rganize competence element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elementary school traine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competence level of th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research. A total of 269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except for 11 copies like the one where insincerely responds to any question was found. The major sugg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reative and character elements need to categorized and organized for assessment and further research and study. We also need to research and scan the proposed areas and sub-categories to ensure there are also no redundancies. Second, we need to place efforts into improving creative efforts of the trainee teachers. In comparison to averages across the board, the creative aspect of our teachers seem a bit low. Better curriculum and training as well as strengthening a creativity conducive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will show greater results in the long run. In particular, fluency and originality should an aspect highly sought out during training. Third, from personality capacity considering that the trainee teacher’s self-expression skills, moral practice indicated that a low level, It need self-expression, moral practice reflect actively in the curriculum of education. Fourth, for new trainee teacher, an intensive practical course need to be redesigned and implemented to stay consistent with our educational focus on creativity and morals. Our currently teaching methods need to be reviewed and revamped completely. Finally from the University of education’s standpoint, the education curriculum has to be analyzed to determine our approach on cultivating creativity and moral education in an easy to digest system or methodology. If we analysis how well reflected factor of creativity, moral education from each course, and then identify the situation, and it will be also helpful for set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창의·인성 교육 개념 및 창의·인성 역량
III. 연구의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익(Kim, Yong-ik). (2014).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 (2), 1-18

MLA

김용익(Kim, Yong-ik).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ㆍ인성 역량 요소 재구조화 및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2014):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