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이용수 143

영문명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이을터(Eul Teo Lee)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글로벌경영학회지 제13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은 기업 경쟁력 가치사슬의 근간을 이루기 때문에, 조직성과모델의 중요한 선행변수이다. 그래서 많은 연구들에서 조직유효성의 원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는데, 주로 인적자원관리 변수들인 직무특성(자율성, 책임감, 도전심), 임금, 승진, 복지정책이나 관계 변수들로 상사의 리더십이나 동료 관계 등을 논의하였다. 한편 조직구성원들의 구직 경로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취업 희망자들이 구직 정보에 대한 불확실성과 비대칭성을 줄이기 위해서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개인적 친분, 부모, 친구, 이웃 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는 앞서 언급한 두 가지 개념을 사회적 자원동원 관점에서 통합적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즉,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구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들을 고찰하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구직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관한 이론을 구축하여 명제들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직의 사회적 네트워크 이론으로 균형이론, 약한 유대의 강함, 사회적 자원동원이론 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구직 유형을 사회 유대관계 차원(약함과 강함)과 사회 위치적 차원(부모와 자신의 사회적 지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네 가지 구직 유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직무만족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고, 앞서 제시한 구직 유형들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네 가지 유형 가운데 구직자 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높고, 부모가 다양한 네트워크를 보유할수록, 구직자는 더 좋은 직장에 입사할 가능성과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클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 이유로 부모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에 관한 광범위하고 다량의 정보수집 효과와 구직자의 임금, 조직 현실 등에 관한 정보 확실성, 면역효과, 그리고 인지부조화 등을 논의하였다. 셋째, 조직몰입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한 구직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네트워크를 통해 구직한 구성원은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근무하고자 하는 지속적 몰입과 도덕적 의무감에 의한 규범적 몰입이 높다는 점이다. 그 이유로 사회적 네트워크 구직 비용, 심리적 계약이론, 규범적 몰입의 도덕적 측면 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 그리고 향후 실증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들과 방법들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anteceden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ar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ave been discussed mainly on HR variables such as job characteristics, wages, and the company s promotion policy and welfare policy.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mployees may be determined by whether they mobilize networks based social resources or not, when they land a job. In terms of social resource mobilization perspective, this study built a theo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verify the relationship, the literatures on the concept of social networks and the types of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were reviewed, after which the propositions between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theoretically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Based on two dimensions (relational dimension (strong tie or weak tie) and positional dimension (social position of parents or social position of me)), four distinctive types of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were suggested. (ii) Among the four types of job seeking identified, the higher the social status of the job seeker s parents was and the wider their social network was, the higher the chance the job seeker had of landing a better job and the higher his job satisfaction was. (iii) Job seekers who landed a job via their social network usually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continuance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iv)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presented.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Job Seeking and Social Networks
Ⅲ.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Ⅳ. Conclusions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을터(Eul Teo Lee). (2016).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글로벌경영학회지, 13 (4), 1-22

MLA

이을터(Eul Teo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via Social Network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글로벌경영학회지, 13.4(2016):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