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듀이의 자연관에 비추어 본 ‘성장으로서 교육’의 의미와 교육사적 의의

이용수 1013

영문명
The Meaning of Education as Growth and its Significance in Educational History with Respect to Dewey s View of Nature
발행기관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저자명
박철홍(Park Chul Hong)
간행물 정보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30권 제4호, 45~6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듀이의 자연관과 자연관에 함의된 교변작용하는 경험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성장으로서 교육’ 개념의 성격을 재규정하고, ‘성장으로서 교육’ 개념의 교육사상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의 논의에 따르면, 역사상 다양한 교육 개념이 있었지만, 자연을 보는 관점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세 가지의 교육 개념이 있다. 역사상 최초로 체계화된 교육 개념 즉 제1기 교육 개념은 인간 형성의 원천을 외적 자연에서 찾는 플라톤적 교육관으로서 ‘외부로부터의 형성’이라는 교육관이다. 두 번째 체계화된 교육 개념 즉 제2기 교육개념은 인간 형성의 원천을 내적 자연(본성)에 두는 루소적 교육관으로 ‘내부로부터의 계발’의 교육관이다. 여기에 대하여 상황적 교변작용이 인간 존재의 자연적 상태라는 듀이의 관점에서 보면 인간형성의 원천은 ‘상황적 교변작용’이라는 경험이 된다. 이 관점에 의하면 성장은 ‘총체적 지식의 계속적 재구성’으로 규정된다. 그리고 총체적 지식의 재구성은 내재적 가치를 갖는다. 교육사상사적 측면에서 볼 때 듀이의 성장으로서 교육 개념은 이원론을 극복하는 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며 ‘외부로부터의 형성’과 ‘내부로부터의 계발’과는 구분되는 ‘삶의 경험을 통한 성장’이라는 획기적인 교육 개념을 제시하였다. 그런 점에서 듀이의 ‘성장으로서 교육’ 개념은 역사적으로 볼 때 제3기 교육 개념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보는 새로운 지평을 확립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define Dewey’s concept of education as growth and to clarify its historical significance. The methodology adopted in the essay is to reveal the nature and meaning of growth by analyzing Dewey’s view of metaphysics, which is called as empirical naturalism, or his conception of nature and experience. This will be of great help to illuminate and evaluate Dewey’s view of education effectively, comparing with other ones. The essay discusses what is the final source of educating human beings, in other words cultivating human minds. Historically, it has been inquired into and argued in two ways: the outside of human being and the inside of it. The former is the nature out of human being; the latter is the nature inside of man. According to the former, the student can be cultivated as a normal man by learning what is outside of man such as knowledge, custom, moral rules, social culture, etc., which originate from the outside nature. This can be named properly as ‘formation from the outside’ or ‘moulding model’. With respect to the latter, the source of developing human mind is the nature inside of man. This can be designated as ‘cultivation from the inside’ or ‘unfolding model’. Dewey denies both of the views of nature which are based upon the dualism between man and nature and which more importantly describe wrongly the existing facts of man and nature judging from the facts of natural science. Dewey argues that man is in the state of transacting with environment as long as he exists in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man who is assumed to be separated from environment can not be possible to exist and be thought of. Nature is appropriately depicted as situational transaction of man with environment. Thus, the original source of developing human mind is situational transaction, which is Dewey’s concept of nature. In conclusion, Dewey’s concept of education as growth can be recognized to be the third concept of education which proposes a new way of understanding educational activities. Now, we have three concepts of education. The first is Platonic concept of education or ‘moulding model’; the second Rousseauian one or ‘unfolding model’; the third Deweyan one or ‘growth mode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원론적 자연관과 이원론적 교육관
Ⅲ. 성장 개념에 함의된 자연관
Ⅳ. 총체적 지식의 계속적 재구성으로서 성장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철홍(Park Chul Hong). (2016).듀이의 자연관에 비추어 본 ‘성장으로서 교육’의 의미와 교육사적 의의. 교육사상연구, 30 (4), 45-68

MLA

박철홍(Park Chul Hong). "듀이의 자연관에 비추어 본 ‘성장으로서 교육’의 의미와 교육사적 의의." 교육사상연구, 30.4(2016): 45-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