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잉치의 맹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후향적인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RETROSPECTIV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RUPTION OF SUPERNUMERARY TOOTH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이동걸(Dong-Geul Lee) 장인걸(In-Geul Chang) 홍종락(Jongrak Hong)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회과학회지 제34권 제4호, 445~449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1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Unerupted or erupted supernumerary tooth may cause crowding, diastema, cyst formation, resorption, and displacement or rotation of adjacent teeth.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prognosis about the pathologic condition and expectation of spontaneous erup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actors predicting the spontaneous eruption of supernumerary tooth.
431 patients (346 males and 85 females, aged from 5 to 29 years) who visited our institution from 2002-2006 and were shown to have 471 mesiodentes was reviewed. Supernumerary teeth were classified inverted and not inverted state. In case of not inverted supernumerary tooth, eruption rate ac cording to length of supernumenary tooth, width of the tooth, angle between the tooth and incisor tooth, location (inside the incisor or not) and shape (conical or tubercle) were investigated.
Th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length, width and angle were all important determinants of influencing the eruption of supernumerary tooth (p <0.001, Pearson R: 0.619).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shape and eruption of supernumerary tooth (p > 0.05). Location of mesiodens has an effect on eruption of supernumerary tooth (p < 0.01).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수유래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유사세포에서 β-TCP와 rhBMP-2의 골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과잉치의 맹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후향적인 연구
- 탈단백 우골과 제3인산칼슘을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 후 이식재의 높이 변화
- 인간 게놈의 단일염기변형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대한 이해
-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외과적 처치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전이개부에 발생한 모기질종
- BMP-2에 의한 협부 지방 성체 줄기세포의 골형성
- 상악동 국균증의 치험 2례
- Pierre Robin sequence 환아에서 하악골신장술
- 한국인에서의 상악동 골이식술과 관련된 상악동 동맥 분포에 대한 예비 연구
- 정상 치은 조직에서 배양된 각화세포에서 Cyclosporine A에 의한 MMP-1, TIMP-1, TGF-β1의 발현에 관한 연구
- 이하선에 발생한 타액선도관낭종의 치험례 :
- 보존적 치료를 통한 단방성 총상형 법랑모세포종의 치험례 :
- 치성 각화 낭종의 술후 재발양상과 추적관찰 기간의 제안
- 다발성 악골의 치성 각화낭을 동반한조대술 후 적출술을 이용한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의 치험례
- 가토 두개골에 이식한 다양한 형태의 자가골에 의한 골성 회복 양상 비교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