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골수유래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유사세포에서 β-TCP와 rhBMP-2의 골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β-TCP/rhBMP-2 ON BONE FORMATION IN OSTEOBLAST-LIKE CELLS INDUCED FROM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최용수(Yong-Soo Choi) 황경균(Kyung-Gyun Hwang) 이재선(Jae-Seon Lee) 박창주(Chang-Joo Park) 심광섭(Kwang-Sup Shim)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회과학회지 제34권 제4호, 419~42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1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steogenic potentials of differentiated osteoblast-like cells (DOCs) induced from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n β-tricalcium phosphate (β-TCP) with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 (rhBMP-2) in vitro.
Osteoblast differentiation was induced in confluent cultures by adding 100 nM dexamethasone, 10 mM β-glycerophosphate, 50 mM L-ascorbic acid. The Alizarin red S staining and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ere perfomed to examine the mRNA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LP), bone sialoprotein (BSP), osteocalcin (OCN), receptor activator for nuclear factor κB ligand (RANKL),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collagen-Ⅰ (COL-Ⅰ).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steogenic potentials of DOCs induced from MSCs on β-TCP(+/-). According to the incubation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ing of Alizadin red S staining in the induction 3 weeks. The mRNA expression of ALP, RUNX2, and RANKL were higher in DOCs/β-TCP(-) than DOCs/β-TCP(+). According to rhBMP-2 concentrations, the mRNA expression of BS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OCs/β-TCP(+) compared to that of DOCs/β-TCP(-) on rhBMP 10 ng/ml.
Our study presented the β-TCP will have the possibility that calcium phosphate directly affect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the bone marrowderived MSC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수유래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유사세포에서 β-TCP와 rhBMP-2의 골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과잉치의 맹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후향적인 연구
- 탈단백 우골과 제3인산칼슘을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 후 이식재의 높이 변화
- 인간 게놈의 단일염기변형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대한 이해
-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외과적 처치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전이개부에 발생한 모기질종
- BMP-2에 의한 협부 지방 성체 줄기세포의 골형성
- 상악동 국균증의 치험 2례
- Pierre Robin sequence 환아에서 하악골신장술
- 한국인에서의 상악동 골이식술과 관련된 상악동 동맥 분포에 대한 예비 연구
- 정상 치은 조직에서 배양된 각화세포에서 Cyclosporine A에 의한 MMP-1, TIMP-1, TGF-β1의 발현에 관한 연구
- 이하선에 발생한 타액선도관낭종의 치험례 :
- 보존적 치료를 통한 단방성 총상형 법랑모세포종의 치험례 :
- 치성 각화 낭종의 술후 재발양상과 추적관찰 기간의 제안
- 다발성 악골의 치성 각화낭을 동반한조대술 후 적출술을 이용한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의 치험례
- 가토 두개골에 이식한 다양한 형태의 자가골에 의한 골성 회복 양상 비교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