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MP-2에 의한 협부 지방 성체 줄기세포의 골형성
이용수 2
- 영문명
- OSTEOGENESIS BY BMP-2 IN ADULT STEM CELL DERIVED FROM BUCCAL FAT PAD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김창현(Chang-Hyen Kim) 박철헌(Cheol-Hun Park) 이일규(Il-Kyu Lee) 표성운(Sung-Woon Pyo)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회과학회지 제34권 제4호, 412~41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1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in combination with stem cells gain more significance for their use in bone tissue engineering. The mesenchymal stem cell can be 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 by the treatment of BMP.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process of adult stem cells derived from buccal fat pad according to BMP-2 within culture media and decide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of BMP-2
to facilitate osteogenesis.
The authors procured the stem cell from buccal fat pad and analyzed for presence of stem cell by flow cytomety against CD-34, CD-105 and STRO-1. The buccal fat derived stem cells (BFDC) were treated by application of the different concentration with BMP-2 of 0, 10, 50, 100 and 200ng/ml, respectively. And their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osteogenic pathway were checked by alkaline phosphatase(ALP) staining, Alizarin red staining and
RT-PCR for osteocalcin(OC) gene expression at 7, 14 and 21day of culture.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biochemical assays demonstrated that BFDC might be a distinguished stem cells, and mineralization was accompanied in proportion to BMP-2 concentration. However, with 100ng/ml concentration of BMP-2, the BFDC demonstrated most efficent staining pattern of ALP and Alizarin red. The feasibilty of the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 the group of both 50ng/ml and 200ng/ml of BMP-2 showed similar activity and relatively weaker than that of 100n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MP-2 stimulate osteogenesis by BFDC effectively and that bone induction might be controlled through negative regulatory feedback in higher concentr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골수유래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유사세포에서 β-TCP와 rhBMP-2의 골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과잉치의 맹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대한 후향적인 연구
- 탈단백 우골과 제3인산칼슘을 이용한 상악동 골이식 후 이식재의 높이 변화
- 인간 게놈의 단일염기변형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대한 이해
- 코골이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외과적 처치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전이개부에 발생한 모기질종
- BMP-2에 의한 협부 지방 성체 줄기세포의 골형성
- 상악동 국균증의 치험 2례
- Pierre Robin sequence 환아에서 하악골신장술
- 한국인에서의 상악동 골이식술과 관련된 상악동 동맥 분포에 대한 예비 연구
- 정상 치은 조직에서 배양된 각화세포에서 Cyclosporine A에 의한 MMP-1, TIMP-1, TGF-β1의 발현에 관한 연구
- 이하선에 발생한 타액선도관낭종의 치험례 :
- 보존적 치료를 통한 단방성 총상형 법랑모세포종의 치험례 :
- 치성 각화 낭종의 술후 재발양상과 추적관찰 기간의 제안
- 다발성 악골의 치성 각화낭을 동반한조대술 후 적출술을 이용한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의 치험례
- 가토 두개골에 이식한 다양한 형태의 자가골에 의한 골성 회복 양상 비교 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