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변화지향 OCB가 상사평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

이용수 1015

영문명
The Effect of Change-Oriented OCB on Supervisory Rating and Job Stress: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Change-Oriented OCB Role Perception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최병권(Byoung Kwon Choi)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4권 제4호, 89~11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영환경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전략, 제품․서비스, 조직운영 방식을 새로운 방향으로 유연하게 변화시키는 노력은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구성원이 업무 자체는 물론 업무수행 방식, 제품․서비스 등의 측면에서 변화 기회를 발굴하고 실행하는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행동을 의미하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변화지향 OCB)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변화지향 OCB는 조직이 공식적으로 부여한 역할 내행동을 벗어난 역할 외 행동의 한 유형으로서 선행연구들은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는 조직효과성 향상은 구성원 개인차원에서도 상사로부터 높은 성과평가를 받는 등 긍정적 결과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해 왔다. 그러나 그 간의 선행연구들을 보면, 변화지향 OCB의 선행변수를 찾는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진 반면, 변화지향 OCB가 실제 상사평가 등구성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변화지향 OCB가 직무스트레스를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변화지향 OCB의 부정적 결과변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이들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지향 OCB가 긍정적 측면에서 상사평가와 부정적 측면에서 직무 스트레스라는 개인 차원의 결과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상사가 변화지향 OCB를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하는가를 의미하는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성원과 직속상사로 구성된 225쌍으로부터 설문조사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예상한 바와 같이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는 상사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가설 1), 변화지향 OCB는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2).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와 관련해서 보면, 변화지향 OCB와 상사평가및 직무스트레스간의 정의 관계는 상사가 변화지향 OCB를 역할 외 행동으로 인식할 때보다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할 때에 더욱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3, 가설 4). 본 연구는 구성원의 변화지향 OCB가 상사로부터 높은 성과평가를 이끌어 내는 데에 도움을 주지만 동시에 직무스트레스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변화지향 OCB가 구성원에게 긍정과 부정의 결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변화지향 OCB가 구성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사가 OCB를 역할 내 행동으로 인식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있다는 점을 밝힘으로써 향후 변화지향 OCB를 포함한 OCB 연구들이 OCB와 결과변수간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서 상사의 OCB 역할 인식이라는 요소를 중요한 상황요인으로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변화지향 OCB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oday’s fast-paced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al efforts to change their strategy, product/service, and work practices to respond to the environment and improve performance are becoming important constituents of competitive advantage. In this regard,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is defined as proactive and constructive behavior aimed at identifying and implementing changes with respect to works, products, services, and work processe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OCB literature. Although change-oriented OCB is a kind of extra-role behavior beyond formal requirements from an organization, researchers have generally agreed that change- oriented OCB not only enha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also provides positive consequences, such as higher supervisory performance evaluation, to employees. However, there have been lots of attempts to identify predictors of change- oriented OCB;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oriented OCB and supervisory evaluation. In addition, recently, while some researchers have proposed that OCB may increase job stress, recent researchers have focused their attention on the negative consequence of OCB.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oriented OCB and job stress. Considering these lack of empirical studies, the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an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influences supervisory evaluation and job stress and how a supervisor’s OCB perception, which is the degree to which a supervisor perceives OCB as in-role behavior, influences on these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225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dyads through survey, and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whereas employees’ change-oriented OCB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y evaluation (Hypothesis 1), it also increased employees’ job stress (Hypothesis 2).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a supervisor’s OCB perception, it was found that positive influences of change-oriented OCB on supervisory evaluation and job stress were stronger when supervisors perceived change-oriented OCB as in-role behavior rather than extra-role behavior (Hypothesis 3 and 4). The current study has contributed towar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that change-oriented OCB can provide not only positive (higher performance evaluation from supervisor) but also negative consequence (increased job stress) to employee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which add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B and its consequences, needs to consider supervisor’s OCB role perception as an important boundary condi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연구 결과
Ⅴ. 토론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권(Byoung Kwon Choi). (2016).변화지향 OCB가 상사평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 인사조직연구, 24 (4), 89-116

MLA

최병권(Byoung Kwon Choi). "변화지향 OCB가 상사평가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변화지향 OCB 역할 인식의 조절효과." 인사조직연구, 24.4(2016): 89-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