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연구 :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이용수 2169

영문명
Multi-level Modeling of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발행기관
한국인사조직학회
저자명
임현명(Hyunmyung Lim) 정원호(Wonho Jeung)
간행물 정보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24권 제4호, 33~5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을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inclusive leadership)이 정서적 몰입(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특성 및 상태적 핵심자기평가(core self-evaluation)를 중심으로그 메커니즘을 검증하고자 한다. 적정 독특성 수준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소속과 고유함의두 가지 대립되는 욕구를 동시에 충족하고자 하는데, 포용적 리더십은 이 둘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이다. 따라서 리더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조직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기존 연구에서는 핵심자기평가를 주로 개인의 특성(trait)으로 간주하고 횡단연구를 통해 그 메커니즘을 검증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핵심 자기평가의 상태(state)적 속성에 주목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핵심자기평가의 특성적 속성과 상태적 속성을 동시에 고려한 종단연구를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육군 상비사단 신병교육대 훈련병 218명을 대상으로 10회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중 187명에 의해 작성된 914개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보일수록 구성원들의 상태적 핵심자기평가 및 정서적 몰입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적 핵심자기 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적 핵심자기평가는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효과를 부분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특성적 핵심자기평가는 상태적 핵심자기평가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가 가진 한계와 더불어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and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mechanism of trait an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ptimal distinctiveness theory explains that individuals seek a balance between belongingness and uniquenes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inclusive leadershi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eadership behaviors for the balance and investigates the effects on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Meanwhile, most of the research has considered core self-evaluation as a set of traits, but several recent studies verify a state-like aspect of core self-evaluation. Thus, this research adopts the two different aspects of core self-evaluation into one longitudinal model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i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For the hypotheses verification, 187 trait data and 914 da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ample of 187 trainees on the recruit training course of the Republic of Korea Army.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clusive leadership of a leader is positively related to a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while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has positive effect on the commitment. Third,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leader’s inclusive leadership and a trainee’s affective commitment. Finally, trait-like core self-evalu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positive effect of state-like core self-evaluation on affective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and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토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2016).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연구 :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인사조직연구, 24 (4), 33-59

MLA

임현명(Hyunmyung Lim),정원호(Wonho Jeung). "포용적 리더십이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연구 : 상태적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와 특성적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인사조직연구, 24.4(2016): 3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