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미디어의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이용수 802

영문명
Filmic Reflexivity in German Expressionist Film : Focused on The Cabinet of Dr. Caligari and Nosferatu
발행기관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저자명
이주봉(Lee, Ju Bong)
간행물 정보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1호, 3~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영화미디어가 내러티브 미디어로서 자리매김하면서 배경으로 사라져간 영화미디어의 자기반영성과 성찰성 문제를 독일 표현주의 영화를 예시로 살펴보고 있다. 내러티브 미디어로서 영화는 영화가 기술적 미디어로서 초기에 지녔던 자기반영적 특징보다는 현실재현과 관객동일시를 통한 주체효과에 집중하면서 성찰성과는 거리를 둔다. 하지만 표현주의 영화는 소재로 다루는 인간의 내면적인 모습이나 몽환적이며 환상적인 세계, 그리고 독특한 형식스타일로 인하여 영화미디어의 반환영주의적인 면모와 자기반영적 성찰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대표적인 표현주의 영화로 꼽히는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1919)과 <노스페라투>(1922)는 관객동일시와 주체효과를 만들어내며 내러티브 영화의 전형적인 면모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이 두 표현주의 영화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분열된 주체라는 담론을 전면으로 부각시키는 도플갱어 모티브를 다루면서 자기반영성과 성찰성을 보여준다. 도플갱어 모티브는 프로이트가 설명했듯이 자신의 것으로 친숙하지만 억압되고 소외되어 타자화된 스스로의 모습과 관계하는, 그렇기에 자기성찰과 관계하는 ‘두려운 낯설음’이라는 감정과 연결된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서는 형식스타일과 플롯을 통해서 생겨나는 주체효과와 주체의 재구성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 또, <노스페라투>의 경우에서는 노스페라투와 엘렌의 시선체계의 이중적 면모, 즉 엘렌의 응시를 통해서 영화미디어의 자기반영적 성찰성을 만들어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고는 표현주의 영화가 내러티브 미디어로서 환영주의적 투명성을 관철한 시기의 주류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관객동일시라는 주체효과의 이면에서 자기반영적이고 성찰적인 미디어성을 보여주면서, 영화미디어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 영화들이었음을 확인하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filmic reflexivity and reflection in german expressionist film. Film in the narrative system has been known as a medium for audience’s imaginative empathy and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addition, the trend to narrative film in film history has excluded the filmic reflexivity and reflection as filmic character. Even though classical film looked at film focusing on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filmic reflexivity could be found in early cinema, for example german expressionist film in the 1920s. Expressionist films are renowned for the ‘caligari style’, which was highly symbolic and stylized. Even if the german expressionism narrates a interesting story with audience’s imaginative empathy,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is broken by mise-en-scene and doppelganger motiv, which related to uncanny. The uncanny is a Freudian concept, that is the instance when “something can be both familiar yet alien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a feeling of it being uncomfortably strange.”(S. Freund) This uncomfortably strange makes a subject be reconstructed. Not only stylized Mise-en-scene, but also doubling with doppelganger motiv and uncanny play a significant role for the filmic reflexivity. Both breaks the transparency of the filmic medium and destructs illusionism of the film. These filmic images often break in the narrative flow. Therefore, doubling ultimately is connected to the theme of the split personality, the exchanged identity and the spectator’s own uncomfortable recognition. This paper focus on analyzing The Cabinet of Dr. Caligari (Robert Wiene, 1919) and Nosferatu (Friedlich Wilhelm Murnau, 1922), that ranged over doubling and uncanny. These german expressionist films are known as a medium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With regard to this reflective character of film in german expressionist films, these films enable film to rediscovery and to realize its potential, which has been forgotten, namely self-reflection and reflexivity of film as a medium

목차

1. 서론
2. 표현주의 영화형식과 영화미디어의 자기반영성
3. 분열된 주체, 도플갱어와 자기반영성
4. 시선체계로 바라본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봉(Lee, Ju Bong). (2014).영화미디어의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9 (1), 3-24

MLA

이주봉(Lee, Ju Bong). "영화미디어의 주체효과와 자기반영성."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9.1(2014): 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