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연구

이용수 217

영문명
Research on Bongjanchwi passed down on the SP record and LP record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반혜성(Ban Hye Su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4집, 167~213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봉장취는 1960년대까지만 하여도 종종 연주되었고, 산조의 형성에 영향을 준 음악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현재는 연주가 단절된 상태이며, 과거의 음악 형태에 대해서도 고증해 줄 연주자나 제보자도 없는 형편이다. 본고는 그동안 발굴된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음원 전반에 관한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다음으로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의 음원간에 어떠한 변별적인 특징이 존재하는가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봉장취는 전 곡을 통해 전형적인 계면조로 진행된다. 청의 이동은 독주로 연주되는 경우에만 a, e , d 등으로 자유롭게 이동하고 합주의 경우에는 거의 a에 고정되어 있다. 봉장취의 악기 편성은 정해진 바 없이 어떠한 악기로든지 편성이 가능하지만, 전해지는 음원들을 보면 가장 애용된 악기는 퉁소와 대금, 해금으로 보인다. 그리고 유성기음반에서는 퉁소가 풍각쟁이의 음악을 대표하며 독주로도 연주되고, 해금, 가야금과 함께 합주되었지만, 장시간음반에서는 더 이상 퉁소가 사용되지 않는다. 장시간음반에서는 유성기음반에는 없던 아쟁이 해금과 함께 봉장취를 연주하기 시작하였고, 피리도 해금, 대금, 가야금 등의 악기와 합주되었다. 유성기음반에서 보이는 봉장취의 장단 구성은 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등이 1~2개로 연주되거나 2개의 장단이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봉장취 음악에서 장단의 구성이나 변화가 봉장취의 음악적 내용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장시간음반에서는 진양, 중모리, 굿거리, 자진굿거리 등 4개의 장단이 느린 것부터 점차로 빨라지는 장단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단의 속도에 따른 변화도 봉장취의 음악적 내용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봉장취를 연주한 연주자들은 경기나 전라, 충청 등 어느 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 않고 광범위한 출신지역을 보였다. 그리고 이들은 당대의 유명 명인에게 사사했거나 천부적으로 음악적인 재능이 뛰어났던 연주자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 연주자들이 공유했던 음악적인 배경은 그들이 타고난 명인이면서 두루 여러 음악들을 섭렵했던 성향이 강했고, 이러한 특성은 곧 봉장취·산조·시나위 같은 음악을 창출할 밑거름이 된 것이라 판단된다.

영문 초록

Bongjanchwi is evaluated as a music that had been frequently performed until the 1960 s and that had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anjo music. However, the performance of Bongjanchwi has now died out an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no musician nor informant to ascertain the form of the music of the past. This paper has its priority in examining the musical traits of the overall sound sources of Bongjangchwi that has passed down on the SP record and LP record found. Next,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distinctive feature between each of the sound sources that has been passed down on the SP record and the LP record. Bongjangchwi is carried out with a typical gyemyunjo through every song. When performed as a solo, chung freely moves to a, e , d and when performed as a ensemble, chung is mostly fixed to a. Bongjangchwi has no fixed instrumental formation, being able to be performed by any instru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s passed down, tungso, daegeum, and haegeum seemed to be the favorites. Furthermore, tungso representing the pung gakjaeng i, played both as a solo and as a ensemble together with haegeum and gayageum on the SP record. However, the tungso is no further used on the LP record. On the LP record, ajaeng which has not been seen on the SP record starts to perform the bongjangchwi with haegeum. Also piri forms an ensemble with haegeum, daegeum, gayageum etc. The composition of the jangdan of bongjangchwi seen on the SP record uses 1~2 jangdans or uses 2 jangdans together. The jangdans used include jungmori, jajinmori, ŏtmori, etc. Thus the composition or the change of the jangdan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musical contents of the bongjangchwi. However, in the case of LP records, the jangdan composition had four jangdans including Jinyang, jungmori, gudgŏri, and jajingudgŏri. These jangdans were played in a sequence that started from the slowest one gradually accelerating to the fastest one. Therefore the change of the jangdan s speed can be regarded as an influencing factor on the musical contents of the bongjangchwi.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ing artists of bongjangchwi had its origins from various regions, not concentrated on one region such as Gyeonggi, Jeolla, or Chungcheong. In addition, these artists were mostly pupils of the famous masters of the time or had outstanding natural talent on music.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se artists shared a musical background of most being an outstanding master and of having a tendency to range over various musical fields. It seems that these characteristics later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ome music genres such as bongjangchwi, sanjo, and sinawi.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음원 목록
Ⅲ.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의 음악적 내용과 연주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혜성(Ban Hye Sung). (2011).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연구. 국악원논문집, 24 , 167-213

MLA

반혜성(Ban Hye Sung). "유성기음반과 장시간음반에 전하는 봉장취 연구." 국악원논문집, 24.(2011): 167-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