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이지찬정보(明治撰定譜)』는 어디에서 왔는가

이용수 12

영문명
Where did the notational system of Meiji sentei-fu come from? : Variety and unification in ryûteki notation in Japanese gagaku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테라우치 나오코(TERAUCHI Naoko)(寺内 直子) 이종찬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24집, 119~14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의 궁중음악인 가가쿠의 류테키(龍笛), 히치리키(篳篥), 쇼(笙), 비와(琵琶), 고토(箏), 마이(춤) 혹은 우타모노(노래)의 연주는 같은 레퍼토리라 하더라도 교토(京都), 나라(奈良), 오사카(大坂)의 음악인들마다 악상, 리듬, 미묘한 뉘앙스, 무용 스타일 등에 대해 서로 차이가 있다. 그러나 그 차이는 고대와 중세의 합자보에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지 않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쇼가 악보들을 살펴보면 1868년 메이지 유신 직후 단일 창법으로 통일되기까지 류테키와 히치리키를 위한 여러 다른 쇼가의 기보체계가 있었다. 오늘날의 궁중음악인들은 1876년과 1888년에 정부 주도로 편찬된 표준보인 『메이지찬정보』에 수록된 고전 악곡들을 단일 스타일로 연주한다. 메이지찬정보는 18세기와 19세기 문헌들에서 합자보와 쇼가 음절들을 병용하는 방법을 차용하여 구음과 음높이를 모두 이용하여 선율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전 문헌들의 체계를 답습하기만 한 것이 아니라, 보다 체계적인 기보를 위하여 새로운 방법을 창안하였다. 찬정보에서 새롭게 창안된 것은 박이나 장단을 더욱 정확히 기보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글자들을 사용한 것이고, 같은 높이의 음이 두 박 이상 지속될 경우 항상 히키(引) 표시를 한다.

영문 초록

Japanese gagaku has relegated the practice of ryûteki 龍笛(flute), hichiriki 篳篥(reed pipe), shô 笙(mouth organ), biwa 琵琶(lute), koto 箏(zither), mai 舞(dances), or utamono歌もの(songs) to specific families in Kyoto 京都, Nara 奈良, and Osaka 大坂. Even for a same repertoire, musicians in the three places have claimed differences among each other in terms of articulation, rhythm, minute nuance of music, and style of dance. The differences were unfortunately not necessarily clear in the tablature scores of the ancient and middle ages, until a new style of notation, the shôga 唱歌(mnemonic sounds) transcription,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The shôga scores from the 17th to the 19th centuries suggest that there existed several different shôga systems in ryûteki flute and hichiriki pipe before they were unified into a single style right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n 1868. Meiji sentei-fu also took the method to combine tablature sings and shôga syllables from the 18th to the 19th century s sources. The combination enables us to read a melody from both aspects of vocables and pitches. Meiji sentei-fu, however, not only succeeded systems from the preceding sources, but also added a new invention in the following point to make the notation more systematic. The invention is rather relating to a temporal aspect. To transcribe beat or rhythm more precisely, Meiji sentei-fu employs different sizes of letter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두 기보체계
Ⅲ. 쇼가에 대한 선행 연구
Ⅳ. 근대이전, 에도 시대(1603-1686)의 류테키 유파들
Ⅴ. 결론: 답습된 것과 창안된 것
<참고문헌>
Ⅰ. Introduction
Ⅱ. two systems of notation
Ⅲ. preceding studies on shôga
Ⅳ. schools of ryûteki flute in the Edo (pre-modern) period (1603-1686)
Ⅴ. conclusion: what is succeeded and what is inven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테라우치 나오코(TERAUCHI Naoko)(寺内,直子),이종찬. (2011).『메이지찬정보(明治撰定譜)』는 어디에서 왔는가. 국악원논문집, 24 , 119-144

MLA

테라우치 나오코(TERAUCHI Naoko)(寺内,直子),이종찬. "『메이지찬정보(明治撰定譜)』는 어디에서 왔는가." 국악원논문집, 24.(2011): 119-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