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韓國 南部地方 新石器時代 農耕 硏究의 現狀과 課題

이용수 862

영문명
Review of the Neolithic Agriculture in Southern Kore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안승모(Ah Sung Mo)(安承模)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0호, 7~2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부지방 선석기시대 농경의 존재는 석기(굴지구, 갈판) 생업 유형과 입지 조건으로 추론되어 왔으나 유적에서 직접 작물유체를 찾으려는 시도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졌다. 동삼동과 상촌리 유적에서 조와 기장이 검출되고 탄화곡물에 대한 직접적인 AMS 연대측정이 확보되면서 남부지방의 신석기시대 중/후기로 편년되는 침선문토가 단계에 조와 기장이 재배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침선문토기 단계는 기본적으로 기존의 재집경제에 소규모 경작(또는 원경)이 부가된 사회이며 농업 또는 농경사회는 청동기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3500년경부터 남부지방은 태선침선문의 중기로 넘어가면서 돌따비, 갈판, 조/기장 등의 새로운 농경적 요소를 채용하고 입지조건도 내륙지향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은 변화의 원인을 가설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았다. 기원전 3500년경 급격한 환경변화(한냉화와 해수면 하강)로 생산성이 크게 저하된 남해안의 압인문토기 집단에서 기존의 사회적 복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작물 재배와 강안 자원 활용 기술을 비롯한 새로운 생업경제 시스템을 수용하면서 증가의 새로운 太線沈線文土器文化가 탄생하였고, 이후 새로 채용한 생업경제 시스템에 적응하여 작물 재배와 견과류를 확보할 수 있는 내륙지방으로 확산되었다는 가설이다. 한국의 신석기시대 농경 연구는 여전히 걸음마단계에 불과하다. 농경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작물을 포함한 식물유체를 유적에서 찾으려는 노력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된다.

영문 초록

A rather dramatic change occurred in southern Korea in the late 4th millennium BC, which is represented by the appearance of Classic Chumun material culture such as comb-pattern pottery with incised design, and new polished stone tools such as arrowheads, net-sinkers, spades and saddle querns. During this period, the exploitation of not only marine resources but also terrestrial resources was intensified. Sedentary settlement appeared on the southern coast and they were rapidly dispersed into areas inland. Plant cultivation also began. The oldest examples are foxtail and broomcorn millets from pit house No l. at Dongsam-dong with an AMS date of 4590±100bp. Although new cultural elements such as millets. stone hoes, saddle querns, and Chulmun pottery design were introduced from central-western Korean Chulmun culture, these were indigenously adopted by existing semi-sedentary foragers, not through immigration. The adoption of millet cultivation with the growing tendency towards inland-oriented subsistence pattern might be motivated from both the cooling climate begging around 3500BC which lowered the previous carrying capacity and the desire to sustain social complexit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본문
Ⅲ. 과제
參考文獻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승모(Ah Sung Mo)(安承模). (2005).韓國 南部地方 新石器時代 農耕 硏究의 現狀과 課題. 한국신석기연구, (10), 7-25

MLA

안승모(Ah Sung Mo)(安承模). "韓國 南部地方 新石器時代 農耕 硏究의 現狀과 課題." 한국신석기연구, .10(2005): 7-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