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石器時代 前·中期의 礫石間層에 대하여

이용수 212

영문명
Regarding the Interlayer between the Early and the Middle Neolithic Age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안재호(Ahn Jae Ho)(安在晧)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7호, 63~113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7.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경주 隍城洞267遺蹟이나 울산 細竹遺蹟의 발굴을 통하여 新石器時代 前期의 상층에 있는 礫石層에 대해서 의문과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엄청난 에너지를 가진 물의 퇴적작용이 아니면 불가능한 것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결국 한반도의 新石器時代 前期의 상층에서 또는 中期의 하층에서 礫石層이 형성된 유적지를 17개소를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은 북한지역의 충적지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서 필자는 新石器時代 前期 末에 大洪水가 일어났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시기는 C14년대에 따르면, 4380B.P.에 해당한다. 이 大洪水에 의해 자연 생 태계는 완전히 파괴되어, 前期의 생업환경에 대변화를 가져오고, 많은 집단이 사라지 거나 이주하게 되었다. 中期 초에는 기존의 원주민과 새로운 집단의 이주로 두 문화가 공존하기도 하고, 혼 합되기도 하였으나, 前期의 원주민은 대부분 도태되거나 中期의 이주민에게로 동화되 어 소멸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반도 전체 특히 중부 이북지역에서 인식하지 못하였던 隆起文土器의 早期와 押引 押捺 刺突 技法의 前期 단계를 복원하고, 각지역의 中期를 모두 같은 시간대에 두고자 한다. 그리고, 이 中期文化는 초기 농경문화와도 관련된 것이며, 檀君神話의 일부분은 이 당시 大洪水를 맞은 사건이 전승된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The writer had a question and interest about the gravel layer seen in the upper layer of the early Neolithic Age through the excavation of Hwansung-dong 267 remains in Gyeongju or Sejuk remains in Ulsan because it didn t seem possible without sedimentation of water. Finally, the writer could find 17 archeological sites with the gravel layer in the upper layer of the early Neolithic Age of the Korean Peninsula or the lower layer of the middle phase. Those were most remains in that era, and found out in an alluvion of the Northern Region. Accordingly, the writer found out that a deluge occurred at the end of the early Neolithic Age. The period was in 4380B.P. according to the C14s. The deluge totally destructed the natural ecosystem, brought about big 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of the early phase, and caused many groups death and immigration. The initial middle phase, the culture between existing natives and new immigrants existed and were mixed, but the early natives were mostly wiped out or assimilated to the middle immigrants and disappeared.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restore the initial Neolithic Age of applique-decorated pottery and the early Neolithic Age of seal-decorated techniques(Abin, Amnal, Jadol), and consider the middle phase of each region as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mid-culture was related to the early agricultural culture, and most Dangun mythology was transmitted due to the deluge at that time.

목차

요약
Ⅰ. 문제의 제기
Ⅱ. 大洪水의 흔적이 있는 유적
Ⅲ. 礫石層의 형성 시기
Ⅳ. 맺음말 - 中期文化와 檀君神話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재호(Ahn Jae Ho)(安在晧). (2009).新石器時代 前·中期의 礫石間層에 대하여. 한국신석기연구, (17), 63-113

MLA

안재호(Ahn Jae Ho)(安在晧). "新石器時代 前·中期의 礫石間層에 대하여." 한국신석기연구, .17(2009): 63-1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