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중·후기 토기의 변화양상

이용수 891

영문명
Change in Chulmun Pottery in the Middle·Latter part of Neolithic of Central-Western Korea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이혜원(Lee, Hye-Won)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29호, 27~6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7.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최근까지 증가한 자료를 중심으로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토기를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석기시대 중·후기 편년을 재검토한 것이다. 토기 문양, 그 중에서도 횡주어골문의 문양 조성을 검토하여 그것을 토대로 유적군을 설정하고, 유적군 간 연속성과 단절성, 시간의 방향성 등을 살펴 편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총 5단계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의 특징을 간단히 정리하면, 1단계는 종주어골문이나 구분계3부위시문, 단치침선, 구분계2부위시문, 동일계시문, 다치찰과 횡주어골문 등이 확인된다. 횡주어골문은 상대적으로 둔각과 직각으로 시문된 것이 많다. 2단계는 이전 단계에 비해 구분계2부위시문, 동일계시문의 비중이 증가한다. 횡주어골문 각도는 예각과 직각이, 시문방법은 다치찰과의 비중이 높다. 3단계는 구연한정시문이 많으며 다치침선으로 시문된 횡주어골문이 확인된다. 각도는 예각이 많으며 결합형태에서는 ‘중간연결’이 확인된다. 또 지역에 따른 문양조성 차이가 두드러진다. 4단계는 구분계가 거의 확인되지 않으며 지역차가 뚜렷하다. 횡주어골문 시문방법은 단치침선이 주가 된다. 5단계는 이전 단계에 비해 문양소의 길이가 짧아지며 비교적 문양소의 간격이 넓고 문양 형태가 정연하지 못하다. 변화의 경향을 정리하면 1단계에서 3단계까지는 횡주어골문의 예각화, 구연한정 시문의 증가 경향, 문양시문부위 축소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4단계에서 5단계는 문양소의 길이 축소,간격 증대 등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3단계와 4단계는 1~3단계의 변화 경향인 예각화나 4~5단계의 변화 경향인 문양소 길이와 간격의 변화로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토기 문양 상에서 는 1~3단계의 중기와 4~5단계의 후기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영문 초록

Researches on the Neolithic period in the midwest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found a chance for growth in the discovery of large-scale settlement relics. Most of recent studies were concentrated in the area of settlement itself with interest in pottery reduced somewhat. There is no doubt about the importance of pottery in archeology, and pottery chronology makes a major axis in potteryrelated researches.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pottery and re-review the middle and late chronology of the New Stone Ag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focused on pottery with such patterns as horizontal bands of oblique and tunnel entrance. The investigator especially reviewed tunnel entrance by the attributes, attempted to categorize patterns based on the results, examined the creation of patterns by the relics, and established relic groups based on the results. Then the relic groups were sorted out in relative chronology through continuity, discontinuity, and time direction. The result was a total five-stage chronology. The trends of changes were sorted out as follows: Stages 1~3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ingly acute angles of tunnel entrance, the increase of mouth-limited carving , and the reduction of pattern section, whereas Stages 4 and 5 can be explained by the decreasing length and widening intervals of pattern elements with some differences among small areas. As for the trends of changes from Stage 3 to Stage 4, given that some pattern elements were shared between the two stages, it seems that the changes were sequential.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rough increasingly acute angles, one of the changing trends in Stages 1~3, and through the trends of changes in Stages 4 and 5. Considering that the percentage of acute angles was not high in some relics(including Seongnaeri) unlike other relics in Stage 3 and that those relics had room for fragmentations along with their neighboring relics,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reviews.

목차

Ⅰ. 머리말
Ⅱ. 토기 속성 분석
1. 속성 분류
2. 상관관계 검토를 통한 횡주어골문분류
Ⅲ. 횡주어골문 출토 유적의 상대편년과 단계설정
1. 유적군 설정
2. 상대편년과 단계설정
Ⅳ. 중서부지역 중·후기 토기의 변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원(Lee, Hye-Won). (2015).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중·후기 토기의 변화양상. 한국신석기연구, (29), 27-64

MLA

이혜원(Lee, Hye-Won). "한반도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중·후기 토기의 변화양상." 한국신석기연구, .29(2015): 27-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