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비야(Bhavya) 추론식의 특징

이용수 70

영문명
Bhavya s method of svatantra anumāna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우형은(Woo Hyung Eun)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佛敎硏究 第45輯, 75~9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바비야(Bhavya)는 자립논증파의 개조로 그의 시대(CE 500-570)는 이미 인도철학의 여러 학파들이 급속한 성장을 했다. 각 학파의 주요 경전이 성립 되었으며, 주요 저서의 주석이 쓰여 졌다. 불교 내부적으로는 유식학파가 성립되었고 디그나가(480-540C E)에 의해 불교 논리학파가 성립되었다. 바비야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춰 현상계의 논리가 중관학파에서 말하는 궁극적 진리의 관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을 새롭게 고안하게 된다. 그는 주장 명제에 ‘궁극적 진리의 관점에서(paramārthataḥ)’라는 수식어를 붙임으로서 인명학의 추론식을 그대로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세속의 영역에 속하는 판단과 승의제에 속하는 술어와의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에 대해 바비야는 승의제를 둘로 나눔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바비야의 추론식에 사용되는 수식어 ‘궁극적 진리의 관점에서’는 언어로 명확하게 기술될 수 있는 승의제(paryāyaparamārtha)로 모든 지성을 초월해 있는 것이 아니다. 명확하게 기술될 수 없는 승의제(aparyāyaparamārtha)는 추론의 대상이 아니다. 바비야는 주장의 오류에 대해 (1) 자어상위 (2) 현량상위 (3) 세간상위의 세 가지 예를 들어 반론을 제기한 후 주장명제에 사용한 “궁극적 진리의 관점에서”, 라는 수식어와 이제설로 반론을 논파한다. 논적이 주장하는 이유와 실례의 오류에 대해 지속적으로 세간의 상식에 따라 표현한다고 말한다. 즉, 그는 단순히 세속제를 받아들이고 있어서 오류가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바비야에 따르면, 현상계는 완전히 비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드러난 만큼 실재하는 것(kun rdzob ji ltar snang ba yin)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Bhavya was the founder of the svātantrika tradition of Madhyamaka school of Buddhism. In his lifetime(CE 500-570), India was dominated by attitude of scholars to debate for defence of their own schools of theory. In the history of Buddhism Dignāga established new formal logic and after this most of the schools followed his three types of formal logic. Bhavya also adopted this tendency of inclination and tried to prove his Madhyamic philosophical thought by using logic. But if he uses Buddhist logic without change then it opposes the position of Madhyamaka who do not have proposition. Hence he formulated specific character of logic which is not opposed to the standpoint of Madhyamaka and does not fall into the logical fallacy. He tried to establishing the new illogical methodology of the Madhyamaka. Bhavya added the qualification in ultimate reality in his proposition(pratijñā). Bhavya divided the ultimate as the ultimate which can be express by word and the ultimate which cannot be express by word. In fact Bhavya interpreted ultimate truth not as ultimate truth itself but as knowledge of ultimate truth. By using this qualification Bhavya did not failed to answer some objections given by others. When the opponent pointed out three kinds of fallacious pakṣa i.e., svavacanaviruddha, pratyakṣaviruddha, lokaviruddha, Bhavya says that there is no contradiction with our position. The reason because we make a qualification to our pakṣa. by saying in ultimate reality. And the opponent pointed out some kinds of fallacious hetu Bhavya s answer is very simple that is we accepted the thing in conventionally. Bhavya accept the conventional truth at least logically. For him conventional truth is just as it appears.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바비야 추론식의 특징
Ⅲ. 추론식의 오류 해명
Ⅳ. 나오는 글
약호 및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형은(Woo Hyung Eun). (2016).바비야(Bhavya) 추론식의 특징. 불교연구, 45 , 75-99

MLA

우형은(Woo Hyung Eun). "바비야(Bhavya) 추론식의 특징." 불교연구, 45.(2016): 75-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