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연구

이용수 405

영문명
A Meta–Analysis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발행기관
한국피해자학회
저자명
고은주(Go Eun joo) 김정우(kim Jung Woo)
간행물 정보
『피해자학연구』제24권 제2호, 33~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으로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갖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위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유형 및 유형별 특성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15년 12월까지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45편의 국내 가정폭력 프로그램 연구물을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전체효과크기를 분석하기에 앞서 동질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따라 랜덤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8이었으며 이 효과크기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문제기능 요인을 향상시키거나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의 유형 중에서는 놀이, 모래놀이, 원예와 같이 동적이면서 보상이 주어지는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성 영역 중에서는 신체적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프로그램 유형 운영특성에 따른 분석결과에서는, 운영회기가 길고, 운영시간이 1시간 미만일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인원수가 10명 내외일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유형 및 운영특성과 관련한 이론적, 실제적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 class of program and their operation methods to most effectively help female victims with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from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5 domestic studies on domestic violence were chosen from the database, with the dates ranging from 1998 to December 2015. Before the total effective size was determined, a random effect model based on a homogeneity test was established and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total effective size of the programs was 1.08. This, according to the standards proposed by Cohen(1998), implies that the programs for female domestic violence victims were very effective in diminishing of removing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hat these women face. Of the various class of programs, dynamic and rewarding programs such as recreation, sand play, and gardening appeared to be most effective. Physical activities ha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effectualness. On program operating methods, programs with longer session periods, with each session less than an hour and a participant number of about ten people, had the largest effective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effective types and operating methods of programs for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은주(Go Eun joo),김정우(kim Jung Woo). (2016).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연구. 피해자학연구, 24 (2), 33-62

MLA

고은주(Go Eun joo),김정우(kim Jung Woo).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연구." 피해자학연구, 24.2(2016): 3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