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불평등:

이용수 2043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nequality in Later Life: The Mediation Effects of Psycho-social Mechanisms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장수지(Chang, Sujie) 김수영(Kim, Soo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6권 3호, 611~63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노년기 건강문제는 의료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지위와 같은 사회적 조건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해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노인의 건강불평등에 이르는 메커니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경제적 지위(소득 및 교육)와 신체적 건강의 세 차원(의료적 건강/기능적 건강/주관적 건강) 간의 사이에서의 중간기제로서 건강행동, 의료시설 접근성, 사회참여, 사회적관계망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2014년에 실시된 전국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2차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65세 이상 남녀 노인 10,451명으로, 매개모형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안하는 절차에 따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의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건강에 대한 효과가 동일하지는 않았고 건 강의 하위차원에 따라서도 다소 다른 결과가 도출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결과의 방향은 노인의 사회경제적지위는 건강격차를 야기하고 있었으며, 그 메커니즘은 건강행동, 의료시설 접근성, 사회참여,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한다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교육은 소득보다도 건강에 대한 보다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었다는 점, 사회참여와 같은 사회통합요인의 효과가 부각되었다는 점, 거주지역을 통제한 이후에도 잔존한 의료시설 접근성의 유의미한 매개효과 등은 본 연구의 결과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조건으로 인한 건강불평등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Solutions for elderly health issues need to be found that take into account not only a medical perspective, but also interactions with social condition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socioeconomic status leads to health inequalities for the elderl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oeconomic status(income and education levels), health activities as an intermediary of the three dimensions of physical health(medical health, functional health, subjective health), accessibility of medical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To test the research model,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2014 National Survey of Senior Citizen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0,451 elderly men and women aged 65 and above. To test the mediated model,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the procedure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n addition,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ed model’s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effects of income and educational levels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were not the same. Additionally, different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health dimensions. However,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creates health disparities, and health behaviors, accessibility of medical facilitie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etwork had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physical health. Study findings especially worth noting are as follows: education was shown to have a stronger effect on health than income; effects of social integration factors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were highlighted; an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accessibility of medical facilities remained even after taking residential area into account. Results of this study shed light on health inequality mechanisms due to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the need to find alternatives to alleviate these proble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지(Chang, Sujie),김수영(Kim, Soo Young). (2016).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불평등:. 한국노년학, 36 (3), 611-632

MLA

장수지(Chang, Sujie),김수영(Kim, Soo Young).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건강불평등:." 한국노년학, 36.3(2016): 611-6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