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행이론(修行理論)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0

영문명
발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저자명
최동석
간행물 정보
『가톨릭사상』제49호, 227~25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리석은 중생은 사물을 바라볼 때,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 그렇게 만드는 출발점이 바로 무지(無知)이다. 이러한 무지는 번뇌(煩惱)를 일으키며, 마침내 인간은 고통에 직면하게 된다. 불교에서는 존재하는 일체의 것이 자신의 마음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사실을 깨닫고, 해탈(解脫)에 이르기 위해서는 “수행(修行)”이 필요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4권본 『능가경(楞伽經)』은 중국불교의 역사, 특히 초기 선불교의 역사가 시작하는 계기를 열어 주었다. 본 소고는 번뇌를 제거하기 위한 수행이론에 관한 연구로써 4권본 『능가경』을 텍스트로 삼는다. 1장에서는 수행자의 길을 걸어 완성을 이룬 보살의 특색을 살펴본다. 특히 『능가경』에서는 대혜라는 이름을 지닌 보살을 등장시켜 전체 이야기를 이끌어가도록 한다. 2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수행의 관건(關鍵)에 대한 연구이다. 각종 불교와 관련된 서적에서는 수행의 관건에 대해 각기 다른 설명을 하고 있는데, 『능가경』에서는 수행자가 정통해야 할 네 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수행자는 이러한 조건을 성취해야 법문(法門)을 이룰 수가 있는 것이다. 3장에서는 『능가경』에서 제시하는 수행의 내용을 다루게 된다. 수행자라면 마땅히, 근면하게 닦아야 할 내용인데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다섯 부분을 발췌하여 전개한다. 대승불교에서의 수행은 자신의 해탈뿐만 아니라, 이웃의 해탈을 위해 이타행(利他行)을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4권본 『능가경』이 제시하는 수행이론을 통해 번뇌를 이겨내는 해답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소고의 목표이다.

영문 초록

The dull Sattva does not see things as they are. The reason for that is ignorance. Ignorance brings about kleśa, and consequently leads human beings to suffering. The Buddhism stresses that everything of existence begins from one’s own mind. Yoga practice is needed to realise it and reach mokṣa. As well known, four books of Laṅkāvatāra – sūtra paved the way for the budding of Chinese Buddhism, in particular, early Chán. This paper studies the theory of yoga practice to eliminate klesa, using four books of Laṅkāvatāra–sūtra as text. The first chapter looks into features of bodhisattva who walks the way of yoga practitioner and accomplishes the perfection. The sutra, in particular, shows a bodhisattva named Dahui to lead the entire story. In the second chapter, research on keys of yoga practice is introduced. While different Buddhist books provide different explanations on keys of yoga practice, Laṅkāvatāra–sūtra offers four conditions that a practitioner should master. A practitioner should master the conditions to fulfil Buddhist writings. The third chapter outlines the content of yoga practice suggested by the sutra. Among those practices that any practitioner should justly and diligently pursue, five parts, which are seen to be particularly essential, would be selected and presented. Yoga practice in Mahayana Buddhism? highlights the implementation of way of parārtha for mokṣa of neighbours as well as on one’s own. This paper aims to find solutions to overcome kleśa through yoga practice of four books of Laṅkāvatāra–sūtra.

목차

머리말
Ⅰ. 수행자
Ⅱ. 수행의 관건(關鍵)
Ⅲ. 수행의 내용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석. (2014).수행이론(修行理論)에 관한 연구. 가톨릭사상, (49), 227-251

MLA

최동석. "수행이론(修行理論)에 관한 연구." 가톨릭사상, .49(2014): 227-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